야간 여행
얀 코스틴 바그너 지음, 유혜자 옮김 / 들녘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책을 읽으면서도 계속 머릿속에 남아 있던 생각은 주인공 마크 크라머의 이름이었다. 독일언데도 마치 crime에 r을 붙여서 만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물론 범죄자가 크라머라는 단어는 아니지만 말이다.  

왜 이런 얘기를 하는가 하면 이 작품은 살인자가 살인을 하는 과정과 그의 내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 시작부터 인상적이다. 카지노에서 전 재산을 다 잃어도 좋다는 식으로 판돈을 걸고 그것이 대박을 터트리자 크게 웃는 그의 모습에서 이미 주체하지 못하는 그의 내면의 광기를 발견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친척인 출판사 사장을 살해하고 늙은 영화배우의 자서전을 쓴다는 명목으로 밤을 달려 그의 별장까지 내려왔다. 그리고 수사가 진행 중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영화배우의 젊은 아내를 차지하기 위해 늙은 영화배우를 살해할 계획을 세운다.

 

책 뒤에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에 등장하는 라스콜리니코프의 21세기 모습이 크라머라고 얘기하고 있는데 그건 좀 동의하기 어렵다. 그보다는 카뮈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뫼르소의 모습이 크라머와 더 어울린다. 책 속에서도 그가 경찰에 잡혔을 때를 상상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모습은 결코 라스콜리니코프의 모습이 아니다. 왜냐하면 크라머에게는 ‘왜?’라는 이유가, 그럴듯한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경찰도 믿지 못할 이유이기 때문이다.

 

현대의 범죄자는 결코 라스콜리니코프같은 모습이 될 수 없다. 우리가 알아야 하는 범죄자는 뫼르소다. 부조리한 그들의 내면을 우리는 결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이코패스라는 단어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웃으면서 눈물을 흘린다고 그의 내면에 죄책감이 있는 것이 아니다. ‘왜?’를 모르기 때문이다. 죽이고 싶은 이유, 그럴 필요가 없는데 살해하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없고 살해한 뒤에는 공허함만이 남는다. 심해의 암흑 같은... 살인은 그 암흑을 갈구하는 마음의 표현이었고 자기 파괴의 본능적 행위였다.

 

크라머와 함께 야간 여행 속 내면으로 들어가 공범이 되는 것은 쓸쓸하면서도 현대인의 자화상을 만나는 기분이라고나 할까... 또한 그는 중간 중간 자신이 죽일 수도 있었지만 살려준 스쳐 지나간 한 남자에 대해 이런 저런 상상을 하는데 그 이야기들이 점차 그의 내면을 보여 주듯이 진화해 나가 급기야는 자신의 야간 여행의 동지로 삼는다. 살인이라는 여행의 동지로... 그가 만들어내고 자꾸만 각색해가는 야간 여행 때 만난 남자에 대한 상상이 마치 액자 소설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주어 작품에 깊이를 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짧고 간단하지만 부조리한 인간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나라면 다시 돌아온 <이방인>이라고 말하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7-04-23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뫼르소를 강조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