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한 시대의 행복은 불행인가 행복인가

절망의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의 저자 후루이치 노시토리가 젊은이들이 행복한 이유로 든 두가지 이유는 첫째로 '미래가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지 않'기 때문이다. 구소련에 이런 농담 아닌 농담이 있었다고 한다. 


"안녕, 오늘 하루는 어때?" 

"응, 내일 보다는 나아." 


섬찟한 이야기이다. 지금의 우리 이야기이고, '절망의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의 절망의 나라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두번째로 든 것이 '컨서머터리'다. 자기 충족적. 지금, 여기 동료들과 함께 어울려 여유롭게 지금의 생활을 즐기는 것.   

마치 한마을에 사는 주민들처럼 '동료'가 모인 '작은 세게'에서 일상을 보내는 젊은이들, 이것이야말로 오늘날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행복한 이유의 본질이다. 라고. 그러면서 예로 든 것이 바로 '원피스'다. 


판매 부수 누계가 2억 부를 돌파한 현대판 성서 '원피스' 에 흐르는 사고방식은 '동료를 위해서'로 요약될 수 있다. '원피스'의 인물들은 자기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동료들에 대한 헌신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있다 뚜렷한 적도 없고, 절대적인 악도 없는 그 세계에서, 루피(19세, 후샤 마을) 일행은 끝을 알 수없는'동료 찾기를 이어간다. 



여기서 루피(19세, 후샤 마을) 이렇게 괄호친거 진짜 웃기다. 요즘 젊은이들이 행복한 이유를 원피스의 '동료찾기'에 비유하다니. 기발하고 적절하다. 여기서 동료는 친구하고는 좀 다른 것 같다. 말그대로 '동료' 다. 같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나와 작업실 식구들, 맨션의 각 방에 들어가 각자의 작업과 가게를 하는연남동 어쩌다 가게의 동료들, 마르쉐 같이 공동장터에 나가 마주하는 서로 공감하고 인정하는 비전이 있는 동료, 지인들. 인 것 같다. 알라딘 서재에서, 북플에서 만나는 책 좋아하며 책 이야기 하는 이들도 '동료' 이고, 동물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모여 이야기하는 것도 '동료'라고 생각한다. 온오프를 가리지 않고, 그렇게 좋아하는 것들, 옳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중심으로 모여든 이들이 '동료'다. 친구랑은 좀 틀린 느낌이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웨옹 2015-01-10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재미있을 거 같아요!

애플망치 2015-01-10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학생때 배웠던 가치관과 레알리 다른 현실에 어리둥절하며 시행착오 겪는 많은 이들을 위하여.....

꽃핑키 2015-01-10 2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ㅠㅠ 내사랑 쵸파!! ㅋㅋㅋ 애니로만 늘 챙겨보고 있는 원피스를 이렇게 책으로 그것도 하이드님 서재에서 보니 정말 너무 반가워요 ㅋㅋㅋ 루피 19세인지 오늘 첨 알았어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