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13
요시다 타로 지음, 안철환 옮김 / 들녘 / 2004년 2월
평점 :
품절


칠레와의 FTA로 시끌시끌하던 무렵, 오마이뉴스의 농업기획기사에 쿠바의 이야기가 실렸다. 유기농이 대안이라는, 완벽한 구현이 쿠바에 있다는, 그 기사를 보고는 궁금한 마음에 이 책을 샀다. 궁금했다. 열려가는 시장 속에서 우리 농업이 어떻게 가야 하는지가.

책을 펼치고 읽어 가다가 기쁜 마음이 되던 것도 잠시, 나는 한참을 멈추어야 했다. 경제봉쇄에 처한 나라의 선택, 굶주린 북한과 건강해진 쿠바의 대비, 교육과 의료가 무료인 이 곳에 대한 묘사에 조금씩 의심이 솟는 것이다. 과연 가능할까, 과연 가능할까, 찬탄일색의 글에 마음이 동하기를 멈추고, 잠시 기다렸다. 자본주의에 길들어진 마음이 받아들일 준비가 될 때까지.

그리고, 이제야 겨우 다 읽었다.

쿠바에게 선택의 여지는 없었다. '빼앗긴 자들'의 이오니안처럼 그 작은 나라는 그 안에서 자급해야 했다. 분담된 무역체계에 포함된 채로 이루어지던 대규모 단작은 고립된 순간 기능하지 못했다. 사탕수수를 기르느라고 식량이 될 곡류를 기르지 못한 나라는, 혁명 전의 상실감에 대한 보상심리로 고기와 우유만을 선호하던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하느라 오래 고통받았다. 그리고, 여전히 그 그림자는 드리워져 있다. 그러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게 되는 어떤 수치가 -국민소득 같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이 나라가 못내 부럽다.  책과 같다면 역시 쿠바는 지상에 유일한 낙원일 것이다.

이 책은 나의 궁금증에 딱 맞는 주제를 다루고 있지는 않다. 나의 궁금증은 농업이라는 산업에 대한 것이었는데, 이 책이 다루는 것은 도시농업에 대한 것이다. 자급하는 도시의 실현,에 대한 이야기다. 자급하지 않는다면, 운송에 자원이 투여된다. 분업사회에서 자원은 낭비된다. 쿠바, 아니 아바나의 이야기는 어려움을 해쳐나가기 위해 머리를 모으고, 오래된 지혜로 도움을 구한 도시의 생존에 관한 이야기다. 농업이란 산업에 대한 답보다는, 삶에 대한 다른 길을 본다. 변변한 사회주의 정당을 가지지 못한 나라에서, 쿠바가 선의로 나아간 그 다음 단계 사회의 성장에 상호의 신뢰와 참여가 기능하게 되는 사회의 모습은 부럽다.

늘, 회의와 부정을 일삼는 내 길들여진 사고에, '반복되는 죄수의 딜레마'에 협력은 최선의 선택이라는 말은 '아, 여전히 사람들은 이상사회를 꿈꾸고 닥쳐오는 반박에 대답을 찾고 있구나'라는 새삼스러운 각성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