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정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 어린이 한국사 첫발 6
청동말굽 지음, 조예정 그림 / 조선북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정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 

처음 제목을 봤을 땐 '정자'라고 나와서 공자, 맹자와 같은 사람 이름인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사람이 아니라 사람들이 쉬라고 만들어 놓은 그 정자를 말하는 것이었다.

 

'누각'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룻바닥을 땅에서 한층 높게 지은 다락 형태의 집이고,

정자는 건물 이름에 '정'자가 붙어 있고 주위 자연을 감상하기 위해 지은 간소한 구조의 목조 건물입니다.

이 책에서는 누각과 정자를 함께 이르는 말인 '누정;대신 어린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자'라고 표기했습니다.

 

오천 년 역사를 묵묵히 지켜온 정자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한국사 이야기.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흥미롭다.

실제 존재하거나 터가 남아있는 곳들의 실제 사진들과 함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기에

아이들과 함께 읽어볼만한 책이란 생각이 든다.

특히 체험학습 등으로 유적지를 많이 찾아가보게 되는데 그때마다 제대로 설명이 되있지 않은 '정자'와 관련된

역사속 이야기를 접할 수 있기에 의미가 있다.

 


 

정자가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에는 총 14채의 정자가 소개된다.

정자는 지금 우리 주변에서 놀이터등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건축물이기에 더욱 가깝게 느껴진다.

예부터 '정자'는 문화를 나누는 곳, 교육의 장소로 쓰였다.

사람들은 정자에서 시를 쓰고 학문을 탐구하고 사람을 모으고 마음을 나누는 역할을 했기에

정자에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정자들은 많지가 않다.

새롭게 예전의 터에 만들어 진 것들, 위치가 바뀌고 모습마져 바뀐 것들도 존재한다.

모습도 사라지고 그 터만 남아 이야기만 전해지는 정자들도 있다.

정자에는 이렇게 그 모습처럼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역사적 사건과 함께 하나씩 들려주고 있다.

 

 

 

총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는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이 담긴 정자,

왕위를 둘러싼 이야기를 품은 정자,

학문과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정자,

혼란의 시대를 함께한 정자의 이야기가 담겼다.

순서대로 보지 않아도 흥미로운 부분의 정자 이야기를 골라서 살펴봐도 무난하다.

낮은 곳에서 고통 받던 사람들의 만세 운동이 일어났던 탑골공원 팔각정,

신라를 걱정한 경애왕의 슬픈 기도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경주 포석정터등

익히 들어왔던 이야기에서부터 비운의 천재 최치원이 왜 세상을 버리고 자연에 묻혀 살게 되었는지등의

궁금한 이야기들도 들려준다.

최치원은 이곳저곳 떠돌다가 산 좋고 물 좋은 곳을 찾아 글을 쓰고 시를 읊으며 살았다.

그리고는 신선이 되어 홀연히 사라졌는데 바로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곳이 경상남도 합천에 있는 정자이다.

표지에 나온 곳이기도 하다.

 

 

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한가운데 위치한 웅장한 누각 경회루.

화려한 연회가 열리는 곳의 이면에는 어린 임금을 지키지 못한 신하의 눈물이 있는 곳이다.

세조는 금성대군과 어린 단종의 목숨을 빼았았고 집현전을 폐쇄하고 선비들의 목소리에 귀를 막았다.

그 뒤 경복궁을 빛내던 경회루는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사라지고 돌기둥만 남게된다.

고종 때 흥선대원군에 의해 지금의 모습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이 책을 읽고나면 그냥 쉼터처럼만 느껴지던 정자를 보며 그 안에 보이지않던 역사 속 이야기를 떠올리게 될 것 같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거운상상 2014-09-23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