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강공주와 바보온달]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평강공주와 바보 온달 비룡소 전래동화 24
성석제 글, 김세현 그림 / 비룡소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우리 고구려가 신라에 빼앗긴 땅을 다시 찾고 싶습니다.

저를 믿으신다면 군사를 이끌고 싸우러 가게 해 주십시오."

"내가 그 땅을 우리 고구려 땅으로 만들지 못하면 결코 살아서 돌아오지 않겠소." - 본문 중에서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두 사람을 보고 있으면 여인의 표정에서 앞으로 닥쳐올 암울한 미래가 그려진다.

이 장면은 비룡소 전래동화 시리즈 24권 고구려 시대 설화 평강공주와 바보온달, 두 주인공의 모습이다.

독특한 그림체가 인상적인데 한국출판미술상 수상 작가 김세현의 그림으로 한지 콜라주 기법과 채석 기법을 사용했다.

기존의 전래동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그림이 눈에 들어오는데 이는 고구려 벽화를 보는 듯한 느낌으로

약간은 빛바랜 듯한 색감때문 인 것 같다.

 



 

 

 

 

 

고구려 벽화의 느낌은 책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또 책제목과 표지 안쪽의 캘리그라피는 전래동화의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요즘 캘리그라피의 매력에 푹 빠져있는데 책 속 이야기를 한자 한자 적어간 독특한 글체도 시선을 잡는다.
평강 공주와 바보온달의 결혼식 장면은 꼭 박물관에서 본 것 같은 그림이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다가 글을 보지 않고 얼핏 그림만 보면 순간 어? 이게 무슨 그림이지?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다른 사람들보다 머리 하나만큼은 크고 뗏국물이 줄줄 흐르는 온달을 정말 제대로 표현한 듯하다.

머리털이 흐트러져 새들이 집을 지으려고 앉았다 가곤 했다는데 진짜 새가 머리 위에 앉아있다!

그거 지저분한 온달보다 새가 머리 위에 집을 지으려고 앉아있는 온달의 모습이 아이들에게 더 생생할 것 같다.

물감으로 직어 질감을 표현하고 있어서 다소 거친 느낌이 나지만 고구려 벽화의 느낌은 잘 표현되었다.

 

 

 

 

 

평강 공주와 바보 온달 이야기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장면은 아마도 고구려 제 25대 평원왕이 울보 공주 평강 공주에게

"자꾸 그렇게 시끄럽게 울면 좋은 남자와 결혼하기는 어려울 게다. 너를 바보 온달한테나 시집보내야겠다."라는

장면일 것이다. 어릴 적 울때마다 들었던 온달에게 시집가라는 말.

이 장면은 꼭 연극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시집갈 나이가 되서 임금은 귀족 집안의 훌륭한 신강감에게 시집 보내려하지만 평강 공주는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은

쉽게 말을 바꿔서는 안된다면서 온달에게 시집간다고 하다가 궁궐에서 쫓겨나게 된다.

공주는 금팔찌 수십 벌을 손목에 차고 온달을 찾아가지만 바보에게 시집올 사람은 귀신밖에 없다면서 평강 공주를 문전박대한다.

 

내가 예전에 읽었던 평강공주와 온달 이야기 책에서는 온달이 평강공 주가 분명히 여우가 둔갑했다고 생각해서

여우 꼬리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한다고 치마를 들춰보았다면서 그 장면이 그려져있었는데 이상하게도 그 장면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이 책에서는 포커스가 온달보다는 평강공주에게 많이 맞춰져있는 것 같다.

공주는 온달을 깨끗하게 씻기고 자신이 손수 지은 옷을 입히고 궁궐에서 가져온 금팔찌 수십 벌을 팔아 살림살이도 장만하고

농사도 짓고 가축도 사들인다. 시장에서 사온 가장 여윈 말을 튼튼할 말로도 키운다.

온달에게 글도 가르쳐 주고 남편을 눈부시게 달리진 모습으로 바꾸는 평강공주의 이야기가 잘 나와있다.

 

 

 

 

온달이 변해가는 모습을 담은 장면과 온달이 북쪽 나라 군사 수십명을 쓰러뜨리는 전쟁터의 장면,

평강 공주와 온달의 결혼식 장면은 정말 고구려 벽화를 보는 듯하다.

 

 

 

 

온달은 씩씩한 장군이 되어 임금님 앞에서 공주와 온달은 행복하게 결혼식도 올리게된다.

하지만 신라에 빼앗긴 땅을 다시 되찾으러 간 전쟁길에서 목숨을 잃고만다.

온달이 안타깝게 전사한 곳이 아단성이라는 곳인데 서울 광진구 아차산에 있는 아차산성이라는 주장과

충청북도 단양의 온달산성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당시 상황으로 볼 때 아차산성이 아단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책을 읽고 아차산 입구에 세워져있다는 온달 장군과 평강 공주의 동상을 보러 아차산성에 나들이해봐도 좋을 것 같다.

 

전래동화 이야기는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이야기와 다양한 그림체로 많이 접해보는 것이

우리의 옛날 이야기에 좀더 흥미를 갖게 하고 아이들의 생각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브캣 2013-02-23 0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