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기사회 - 한국인은 지금 어떤 마음이 고픈가 아케이드 프로젝트 Arcade Project 2
주창윤 지음 / 글항아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기사회는 자기위로에 빠지는 문화를 생산해낸다.

우리 사회의 허기문화는 퇴행, 모방욕망 그리고 분노표출로 특징지어진다.

이와 같은 경험들이 용해되어 나타난 우리시대의 마음들을 정서적 허기로 표현했다.

대중이 사회와의 긴장 관계속에서 불안이나 혼란과 같은 정서적 경험을 느끼는데, 그 정서가 사회밖으로 분출되지 못하고 개인적 심리적 수준에서 자기위로라는 감정으로 해소된다.

이 공허함을 어떻게 메울 수 있을까?

한병철은 깊은 사색주의를 강조한다.

바우만은 SNS에 몰입하는 한 소녀의 예를 통해서 소녀는 혼자 지낼 수 있는 기술을 배워볼 기회조차 가져보지 못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근육이나 상상력같은 것을 활용해서 공허감에서 빠져나올 수단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어느 사회에서나 갈등은 필연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 갈등은 배제의 논리로 풀어지지 않으며, 다위적 화해나 통합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이 갈등이 폭력이 된느 이유는 동일성의 논리 떄문이거나 외양만이 봉합된 긍정성의 세계 속으로 빠지기 때문이다. 긍정성이 확대되면 부정성도 함꼐 떠오를 뿐이다. 동일성이 커져가면 타자와 나를 분리함으로써 배제의 논리가 지배한다.

눈부처는 나는 타자로 인하여 나이고 타자가 곧 나인 것을 자각하여 타자를 나처럼 끔찍이 보듬어주고 사랑하는 변동어이의 사유를 의미한다.

이도흠은 원효의 화쟁사상에 기대어 동일성의 패러다임에서 타자를 배제하고 폭력을 가하는 것을 지양하려면 대중은 눈부처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부자로 사는 법
이진우.김동환 지음 / 청림출판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금융상품을 고르는 2가지 원칙

- 이 상품이 등장한 배경이 무엇인지?

- 보이지 않는 위험

  금융상품이 미래시장의 사건을 보여주는 거을일 수 있다는 거.

  매매의 상대방이 회피하고 싶은 위험이 무엇인지 고민을 해봐야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eamPartner 2013-05-18 1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험적인 투자를 하고 싶을 때 워런트, BW

DreamPartner 2013-05-18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
----
첫째, 전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쓴다
둘째, 소득 수준이 높은 잠재 사용자들이 수억 명이나 있다. 이런 시장이 미국 외에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음
콘텐츠 마켓은 미국이 세계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모을 수 있었던게

DreamPartner 2013-05-18 1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
----
경제 이론적으로는 경제력이 약하면 통화가치가 약해지고, 경제력이 강하면 통화 가치가 강해져서 돈의 흐름이 발생해야
그런데 유로를 쓰는 17개국은 각 나라의 경제력 차이를 무시하고 단일 통화를 쓰니까 그런 돈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음.
각 나라의 경제력 차이가 비슷해지면 단일 통화가 힘을...

DreamPartner 2013-05-18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휘둘리지 않아야 쪼들리지 않는다.
세상이 정한 돈의 규칙을 무작정 따를 것인가
자신만의 페이스 조절로 삶을 완주할 것인가

정해졌다면 과감한 액션이 필요
 
도시에서 죽는다는 것
김형숙 지음 / 뜨인돌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결정과 선택을 대신했던 우리는 불행한 결과 앞에서 각자 슬픔과 책임감에 짓눌려 환자를 제대로 '보호'하거나 대변활 경황이 없었다.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지만 '누가 대신할 수 없는 죽음'을 그렇게 홀로 감당할 수 밖에 없는 것.

중환자가 된다는 건 어쩌면 고립되고 소외된 상태에서 자신의 병과 죽음에 대해 제3자가 되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우리들 곁에 '어른'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죽음이나 세상의 온갖 불운 앞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어른이 있어 '이 사람들아, 서운한 마음도 있겠지만 가족들을 좀 이해하고 위로해주게. 가장을 잃은 사람들 아닌가.' 나무라주고, '이보게, 황망하고 억울하겠지만 잘해보려다 이리 된 것 아닌가. 어서 정신을 차리고 사람을 잘 보내드리는게 먼제일세.'하고 위로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그 옛날 고향마을 우리 할아버지께서 그러셨던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삼십대의 의사, 간호사들이 일하고 있는 중환자실에는 그런 어른이 없었다.

중환자로써의 의사 권리, 잘 이별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 공부
김병목 지음, 김지원 그림 / 희목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 - 제5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43
김이윤 지음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기역차"를 아시나요?

어 : 어떤 문제인지 들어주기

기 : 기분이 어떤지 듣고 이해하기

여 : 입장 바꿔 보기

차 :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기

또래 상담 교육에서 나오는 대화법의 머리글자라고 하네요.

소설을 읽으면서 담담하게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점도 인상적이었는데 써먹으면 좋은 문구가 있어서 남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