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 홍대점에 있던 이리카페가 상수역점으로 옮겨오면서 변해있었다.
일단, 이날의 풍경에서 느꼈던 첫인상은 번접한 '이리카페'였다.
1년 전이라고 하니 이상한가? 이맘 때 작년에 이리카페에서 고산자를 낸 박범신 작가를 만났었다. 

 

참 재미있는 것은 작가는 어떤 책을 쓰게 되면 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일정부분 닮아 있는 것을 느낀다.
이건 마치 배우가 혼신을 다해 맡은 역할에 심취하는 것과 같다.
물론 작가이기에 더욱 그 에너지를 쏟았으니 당연한 거겠지만... 어쩌면 앞과 뒤의 비유가 바꼈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박범신 작가의 작품 하나 하나를 살펴보면 모두가 박범신 작가의 모습 같은 느낌이 드는 건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작년 고산자의 김정호도 박범신의 '아바타' 였던 것처럼 느껴졌고
이번 은교의 이적요 시인도 박범신의 '아바타'로 느껴졌다.


 

 

 

글쎄, 다채로웠던 것은 이번 강연회 때는 성우 김상현 씨가 나와서 그 착 가라앉는 목소리로
읽어주었던 점이 이번 강연회를 초반에 살렸던 것은 아니었는지 생각이 든다.
김상현 씨는 원래 시와 소설을 읽은 성우 역할로 먼저 데뷔를 했다고 해서 일까 박범신 작가의 은교가 더 감각적으로 들렸다.


문학작품은 눈으로 읽는 것보다 소리내어 읽는 것이 더 칼큼한 맛을 낸다는 것을 알려준 이번 강연회는
그렇게 차분하게 시작이 되었다.
무엇보다 박범신 작가가 나이가 60을 바라본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이 소설은 젊은이의 감수성이 물씬 느껴지는
소설이기도 하다. 또 그러면서도 나이 80을 바라보는 늙은이의 감수성도 같이 다루고 있어
박범신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 자 했는지 언뜻 보아서는 감을 잡을 수가 없다.


 하지만 그의 소설을 차분하게 읽다보면 또 그와의 대화를 조금만 나누게 되면
그는 소설을 쓰면서 독자와 즐거운 대화를 나누고자 했음을 느끼게 된다.
이적요 시인이 박범신 작가의 아바트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고산자 때도 이야기를 꺼냈지만 우리 문단은 고상한 '역사'이야기를 소설로 버무리면 굉장한 작가로 치부하지만 연예소설을
쓰게 되면 '하급'으로 지칭한다는 것을 박범신 작가는 꼬집고 있다.
바로 이적요 시인이 문단의 이런 서열 나누기를 비웃었던 것은 박범신 작가의 생각이 강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그의 소설을 다 읽어보면
박범신 작가가 등장인물이고 등장인물이 박범신 작가가 되어버리는 현상이 찾아오는 것이다.
물론 그것이 어떤이에게는 좋을 것이고 또 어떤이에게는 나쁜 효과일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소설을 쓰는 작가라면
독자가 그의 소설을 읽고 그가 등장인물의 어느 인물과 같지 않을까 의심을 받을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날의 박범신은 그랬기에 나는 또 그와의 만남을 기다릴 것이다.
과연 1년 뒤에 또 만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기대가 된다.
그가 곧 출시할 다음번 책을,
다음 번 책에서는 또 어떤 아바타를 보여줄지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박범신, 그와 1년 뒤에 다시 만날 수 있을까
    from # 간이역, 꿈꾸는 식물 2010-06-02 12:48 
    1년 전 홍대점에 있던 이리카페가 상수역점으로 옮겨오면서 변해있었다. 일단, 이날의 풍경에서 느꼈던 첫인상은 번접한 '이리카페'였다. 1년 전이라고 하니 이상한가? 이맘 때 작년에 이리카페에서 고산자를 낸 박범신 작가를 만났었다. 참 재미있는 것은 작가는 어떤 책을 쓰게 되면 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일정부분 닮아 있는 것을 느낀다. 이건 마치 배우가 혼신을 다해 맡은 역할에 심취하는 것과 같다. 물론 작가이기에 더욱 그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