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데이즈>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파인 데이즈
혼다 다카요시 지음, 이기웅 옮김 / 예담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일본 문학을 직접 대하는 일이 아마도 처음일 것이다. 되지 못한 실력으로 일본원어 소설을 읽고자 했던 치기 어린 도전을 뺀다면 그것이 분명하다. 드라마나 만화로 접했던 것과는 달리 오로지 글자로만 구성된 일본문학이 낯설기도 하고, 반갑기도 하다. 마치 개미지옥처럼 처음에는 조금의 경사에 속아 점점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빠지는 것처럼 일본 미스터리 단편집 <파인데이즈>는 몰입하게 했다. 일본문예서 만화가 차지하고 있는 부분은 대단히 커보인다. 이 책의 첫 번째 단편 만화에서 그림을 빼고 읽는 느낌을 주었다. 그런 생소한 느낌이 다음 편까지 쉬지 않고 관심을 갖게 했다. (한편으로는 편집자의 꾐에 넘어간 것이기도 하겠다)

낯설기도 하고 한편 익숙하기도 한 미스터리 단편들을 읽어가면서 문득 이외수가 떠올랐다. 요즘은 이상한 잡필가처럼 변했지만 초기의 이외수의 소설에는 초현실(이 아니라면 최소한 비현실)적인 상황들을 일상처럼 대하는 작가의 모습이 역력했다. 초현실과 비현실의 구분을 어떻게 해야 좋을 지 모르겠지만 이외수의 대단히 적극적인 현실회피는 지금도 그다지 변한 것이 없다고 듣고 있다. 최근까지도 그는 우주인과의 교신을 하고 있다고 전해들은 바 있다.

모든 이야기꾼들이 그럴까 궁금했지만 어느 한 때 한국에서 유명하다는 소설가 3명과 며칠 여행을 갔을 때에는 전혀 느끼지 못한 부분이었다. 그네들의 경계가 컸던가 그도 아니라면 간만의 여행을 아주 평범하게 보내고 싶었던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네들의 소설에도 역시나 이야기꾼으로서의 상상은 그렇게 며칠 간 뻔하게 흐트러진 모습으로 봤던 일상과는 분명 달랐다. 나로서는 그 속을 보고자 했지만 소설가 3명은 아주 평범한 수다와 뒷담화로 며칠을 다 보냈다.

<파인데이즈>을 읽으면서 우선 즐거웠던 것은 문장이 영어 번역소설에 비해서 대단히 살갑게 느껴졌던 점이다. 때때로 이것이 번역된 사실을 잊게 해서 원래 한국어로 써졌다고 해도 믿을 정도로 자연스러웠다. 아무리 그래도 일본어로 쓴 책이니 일본어로 읽어야 제 격이겠지만 문장의 친숙함은 일본문학의 특성을 찾고자 했던 애초의 다짐을 쉬이 잊게 했다. 그러나 마지막 책 장을 덮고 나서는 "야빠리 치가우"라고 할 수밖에 없었다.

막상 일본 문학과의 다른 점을 말해야 하는 지점에서 문득 내가 한국 문학에 대해서 잘 알고나 있을까 하는 회의가 들었다. 그러나 딱 아는 만큼의 전제 속에서 <파인데이즈>는 일본문예의 독특함을 대표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게 했다. 미스터리 혹은 판타지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영화화됐다는 Yesterday도 분명히 나는 봤을 것이다. 고백하자면 막장 일색인 한국드라마보다 골라보는 일본드라마가 훨씬 낫다는 생각에 일본 드라마와 영화를 깨 찾아봤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화의 기억보다는 문자 하나하나가 새로 그려가는 원작의 느낌이 영화보다 훨씬 간결하고 애잔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 작가의 특징인지 아니면 일본문학의 공통점일지는 누가 대신 대답해주면 좋겠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두 개의 밥그릇이었다. 흔히 고동밥 혹은 머슴밥이라고 불리는 한국의 밥그릇 위로 한참 쌓아올린 것과 조금씩 여러번 덜어먹는 일본의 작은 것이다. 이 책은 마치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른 한국의 고봉밥같은 강렬한 기대감은 없었다. 그러나 읽어갈수록 더 먹고 싶은 밥처럼 한 그릇 더, 한 그릇 더 해서 결국 고봉밥과 진배없는 과식을 하게 된 결과와 같아진다는 느낌이었다.

사실 파인데이즈는 분석으로 대하면 미스터리고 판타지겠지만 그 특성이 이 소설의 문학적 가치를 폄하하는 빌미는 되지 않을 거라 확신한다. 이 책을 청춘 미스터리 소설이라고 했는데, 정말로 청춘들이 좀 읽어줬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