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5 - 다시 금강을 예찬하다, 개정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5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강산 답사 후 금강산에 대해 그림같은 묘사를 하였지만 여느 답사기에 비해 흥미가 떨어졌다.
책에서도 몇번을 강조하고 옛날 문인들도 수백번은 강조했듯이 아름다운 금강산을 말로 표현하는것은 턱없이 부족하고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다보니 글쓴이의 감동이 공감이 잘 가지 않았다. 단지 나도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만 들었다.
다른 답사기들은 유적지들이 대부분 인간과 관계가 있기때문에 그에대한 사설과 역사를 풀어나가다 보면 흥미가 돋는데 금강산은 그나마 꽤 많던 사찰들도 6.25전쟁때 불타 잿더미로 변한 후 더욱 인간과는 연이 끊겨서 인간사보다는 자연에 치중되어있었다. 그래서 더더욱 직접 보아야만 하는 답사처가 되었다.

 

 책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양봉래의 비래정 '비'자 이야기다. 

양사언이 금강산 아래쪽에 집 한채를 짓고 '비래정'이라 이름짓고 현판글씨를 썼는데 '비'자만 잘써져서 '비'만 족자로 해서 걸어놓았다. 이 '비'자는 명작으로 칭송될만큼 아주 잘 쓴 글씨였다. 그러다가 양사언은 집을 비우고 잠시 지방관으로 파견나간 사이 양사언은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만다. 이 날 같은시간에 양사언의 비래정에 걸려있던 '비'자만 갑작스러운 강풍에 날아가 버렸고 끝내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양사언의 비래정 '비'자 전설은 '예술은 혼이다'라는 주제를 내세운다. 따라서 '혼이 담기지 않은 예술은 예술이 아니다' 라는 것인데 참 멋진 말이라 생각한다.

또한 글쓴이와 함께 나도 질문을 던지고 싶은 것은 금강산을 그린 동양화는 많지만 유화기법의 서양화는 없다는 것이다. 왜일까. 꼭 금강산은 묵으로 그려야만 아름답게 표현을 할 수 있었을까? 아니면 관습적인 것이었을까? 동양화의 기법으로 추상화를 그리는게 낯선것과 같은 것일까?
동양화와 서양화가 서로 교차한 새로운 기법으로 그림그린다면 신선할 것 같다.

금강산에서 가장 가보고 싶은 곳은 상팔담이다. 사진으로만 보아서는 정말 선녀들이 내려와 목욕을 할 것만 같다. 꼭 가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
타밈 안사리 지음, 류한원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가지 오역과 오타때문에 글 읽는데 조금 이해하기 어렵기도 했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흐름 파악하는데 별 무리는 없었다.

 네이트 뉴스에 뜬 메카 성지 순례에 관한 기사를 보았는데 댓글들이 가관이었다. 어쩜 저렇게 잘 알지도 못하면서 비방하는지... 이 책을 읽기전에는 나도 이슬람에 대해서는 완전 무지했고 잘 몰라서그냥 입다물고 있었는데 사람들 참.. 온갖 편견으로 욕을 해대니 그게 더 실망스러웠다.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왜 생겨난건지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던건지 그들을 이해할 수 있다. 여성을 억압하는 정책이 이슬람 교리 문제가 아닌 상류층의 관습에서 부터 시작되었고 더 거슬러 올라가면 역사적인 배경이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평화를 지켜준답시고 나타난 서구세력이 과연 평화를 지켜주기 위함인지 의심스럽다. 아니 평화를 지켜주긴 개뿔 다 자기나라 이익과 권력을 위해서 말만 좋게 포장한것 뿐이다. 

 오역이랑 오타 수정해서 다시 개정판 좀 나왔으면 좋겠다.

참 괜찮은 책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