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철우 (2022)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의 법칙을 찾아 나선 양자 물리학자의 지적 탐험




파동 역학으로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슈뢰딩어가 1943년 2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행한 생명에 관한 3회에 걸친 연속 강연을 기초로 저술한 전설적인 책 [생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설서.  


Erwin Schrödinger (1944) What Is Life? The Physical Aspect of the Living Cell

국역 전대호(2007) / 서인석(2017/2021)


   



DNA가 이중 나선 구조임을 밝혀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Watson, Crick, Wilkins 세 사람 모두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로도 잘 알려져 있다. [13-16] 


James Watson (1968) The Double Helix: A Personal Account of the Discovery of the Structure of DNA 

국역 하두봉 (1990/1994) 이중나선: 핵산의 구조를 밝히기까지 

국역 최돈찬 (2007/2019) 이중나선: 생명구조에 대한 호기심으로 DNA구조를 발견한 이야기


   



Walter Moore (1989) Schrödinger: Life and Thought 

국역 전대호 (1997) 슈뢰딩거의 삶 


 국역     원서



"진화론의 대가인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생명이란 무엇인가? 그 후 50년]에서 이 책이 1920년대에 유럽에서 풍미하던 과학 통일 운동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21] "좀 더 넓은 맥락에서 보면, 이런 과학 통일 운동은 당대에 풍미하던 모더니즘 운동, 그러니까 이전 시대와 단절해서 단순화, 환원, 보편화를 추구하던 문화의 큰 흐름과 나란히 나타난 사조로 볼 수 있다." [22]

Stephen Jay Gould, '한 모더니스트의 선언문', in: Michael P. Murphy, Luke A. J. O'Neill, ed. (1995) What is Life? The Next Fifty Years: Speculations on the Future of Biology
국역 이상헌/이한음 (2003) 생명이란 무엇인가? 그 후 50년

      



" 물리학자 슈뢰딩거는 책에서 염색체, 유전자, 유사 분열, 염색체 교차, 대립 유전자 같은 당대 생물학의 최신 지식을 바탕으로 유전 현상과 그 메커니즘에 접근한다. 여기에서 유전자는 생물학적 존재에 머물지 않고 더 나아가 양자 물리학과 화학의 법칙을 통해 다시 파악될 수 있는 물질 분자로서 다뤄진다. 그렇게 해서 슈뢰딩거가 얻은 뛰어난 통찰 가운데 하나가 유전 물질은 '비주기적 결정' 구조일 것이라는 예측이었다. 그는 유전 물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켜 생물 진화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면서도 동시에 세대에서 세대로 거의 그대로 전해지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다름 아니라 그 물질 구조가 규칙적이되 반복적이지 않은 '비주기적 결정'이기 때문이라는 가설적 추론을 제시했다. 안정적인 결정 구조이면서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물질 구조라면 그것은 비주기적 결정일 수밖에 없다는 통찰이었다. " [23-24]
 
" 그는 오늘날 너무나 익숙하게 사용하는 유전 암호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과학자로도 자주 거론된다. 그는 유전 물질이 유전되는 정보를 담은 문서라는 뜻으로 암호 문서의 비유를 사용했다. 유전 물질을 통해 세대에서 세대로 유전되고 세포에서 세포로 전해지는 것은 다름 아니라 생명의 기능과 구조에 관한 정보임을 의미한다. 그렇게 전해진 정보가 단 하나의 수정란 세포에서 시작해 개체로 완성되는 발생 과정에서 유기체의 모든 구조와 기능을 구현하는 일종의 설계 도면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슈뢰딩거의 '유전 물질=암호 문서'라는 비유는 의미심장하게 사용됐다." [24]
 
" 분자 생물학 역사학자 모랑쥬는 이렇게 평가했다. "물리학자로서 냉철학 안목을 지닌 슈뢰딩거가 유전자를 정보의 저장고 및 개체의 형성을 결정하는 암호로서 간주한 그 독창성은 퇴색되지 않는다. 슈뢰딩거는 유전학자들도 감히 주장하기 어려운 '수정란의 핵은 개체의 미래 발생과 성체의 기능에 관한 모든 것을 함축하는 모델을 암호화한 체계로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을 피력했다." " [32-33]
 
Michel Morange (1994) A History of Molecular Biology (Harvard Univ. Press)
국역 김광일 외(2002) 분자 생물학: 실험과 사유의 역사 

   



+


> 나란히 두고 보면 좋은 책 

- André Pichot (1999) Histoire de la notion de gène 
국역 이정희 (2010) 유전자 개념의 역사

- Lynn Margulis, Dorion Sagan (1995) What Is Life?

국역 김영 (2015) 생명이란 무엇인가 

- Paul Nurse (2020) What Is Life? Five Great Ideas in Biology 

국역 이한음 (2021) 생명이란 무엇인가 

- 정우현 (2022) 생명을 묻다: 과학이 놓치고 있는 생명에 대한 15가지 질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 ~] [17-255] 


원제: Immanuel Kant (1747) Gedanken von der wahren Schätzung der lebendigen Kräfte und Beurtheilung der Beweise derer sich Herr von Leibnitz und andere Mechaniker in dieser Streitsache bedienet haben: nebst einigen vorhergehenden Betrachtungen welche die Kraft der Körper überhaupt betreffen (en= Thoughts on the True Estimation of Living Forces)

 


해제 (옮긴이 김상현) [429-444] 


- 살아 있는 힘'(vis viva)에 관한 논쟁: 데카르트주의(운동력) vs. 라이프니츠주의(작용력) 

- Descartes (1644) [철학의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II부 35항 이하): 운동량 정의 

- Leibniz (1686) [악타 에루디토룸](Acta Eruditorum) - <자연법칙에 대한 데카르트와 다른 사람들의 기념비적 오류들에 대한 간략한 증명>; Leibniz (1694) <제일철학의 개선과 실체개념> - 작용력 개념


- 달랑베르 Jean-Baptiste Le Rond d'Alembert (1743) [동역학개론](Traite de Dynamique)

- 라그랑주 Joseph-Louis Lagrange) (1788) [해석역학](Mecanique analytique)

- 심신(mind-body) 문제, 신의 불변성 문제 


- Kant는 "이러한 논쟁의 학본판에서 달랑베르와 마찬가지로 운동량 개념을 재정립하고, 라그랑주에 앞서서 동역학과 정역학의 정립에 초석을 마련하는 자신만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430] 


- "이 저작은 당대의 형이상학적 문제가 자연철학이라는 이름하에 '힘'에 관한 논쟁으로 개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31] "표면적으로는 살아 있는 힘 논쟁과 관련한 물리학적 문제를 다루었지만, 사실 그 이면에는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라는 당대 거장에 도전하여 수학에 바탕한 세계관과 형이상학에 바탕한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재정립하려는 칸트 자신의 철학적 기획이 담겨 있다." [431]


- "상반된 데카르트의 수학적/기계적 세계관과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적/역동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적 종합을 시도한 저작" [441] 


- "수학적 자연관에서 형이상학적이고 역동적인 자연관의 구출을 기획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살아 있는 힘을 인정하는 것은 곧 실체의 근원적이고 능동적인 힘과 그에 따른 작용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체의 작용력이 공간과 연장에 선행하며, 실체들의 작용력의 관계 법칙에 따라 다수 세계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런 견해들의 배후에는 라이프니츠가 주장한 최선세계론과 예정조화설이 있다." [442]


- "칸트는 한편으로는 라이프니츠의 측정을 인정하고(실체의 능동성), 다른 한편으로는 데카르트의 측정을 인정(실체의 수동성)해서 실체에 관한 이중적 관점을 보이는데, 이는 라이프니츠의 노선을 따르면서도 데카르트의 수학적/기계적 세계관의 영향을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42-443] 



       





[일반 자연사 ~] [257-424]


원제: Immanuel Kant (1755) 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 nach Newtonischen Grundsätzen abgehandelt (en= Universal Natural History and Theory of the Heavens)



해제 (옮긴이 이남원) [445-454]


- 칸트는 "태양계뿐 아니라 우주 전체의 구조와 기원이 어떤 기계론적 법칙에 따라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446] "칸트에 따르면 자연에서의 아름다움과 질서는 목적론적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이유로 칸트가 신의 존재를 부정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다."[446]





- "칸트는 모든 물질이 필연적으로 일정한 법칙에 종속되어 있고, 따라서 기계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물질의 기계론적 질서는 필연적으로 아름다운 결합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신이 자연에 질서와 아름다움을 부여했기 때문에 자연이 질서와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 아니라 물질을 지배하는 제1원리에 따라 필연적으로 조화와 아름다움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연이 질서와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다." [446-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역판 저본: Marxism and Epistemology (1975, 초판) 




원서: L’Épistémologie historique de Gaston Bachelard (1969) + 

Pour une critique de l’épistémologie: Bachelard, Canguilhem, Foucault (1972)





영역판 서문 (7-24쪽)


> 인식론이라는 단일한 분과의 두 경향 사이의 비교


1) 바슐라르 vs 포퍼 


바슐라르의 [새로운 과학 정신](Le nouvel esprit scientifique, 1934 -> en. The New Scientific Mind)과 포퍼의 [과학적 발견의 논리](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1934) "사이에는 어떤 대면의 조짐이나 경쟁의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10]



 [새로운 과학 정신]  [과학적 발견의 논리]  



2) 바슐라르 vs 쿤 


바슐라르의 [현대 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L'activité rationaliste de la physique contemporaine, 1951)과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이 두 책은 핵심적인 문제들에서 실제로 일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완전한 오류라고 생각한다." [11]


         



"우리는 이러한 진기한 상황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인식론의 역사-- 필연적으로 비교인식론(comparative epistemology)의 형태를 띠게 될 역사 --를 가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나름대로의 지적 국수주의에 기초해 있는 주장들이 불충분하다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 공백에 의해서 야기될지도 모르는 심각한 오해-- 이러한 오해의 이론적 귀결들은 심각할 수 있다. --에 관해서 곧바로 독자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10] 


"내가 보기에는, 바슐라르적 전통의 지배적 경향은 유물론적인데 반해서, 포퍼주의와 그 변종들의 경향은, 그것이 보여 주고 있는 어떤 외양들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관념론적이다." [11] 



ct. 실증주의 


푸앵카레"(H. Poincare) 이후 전통이 되어 버린 '과학의 가치'에 대한 논문들에 반대하여, 바슐라르는 인식론자들에게 현대 과학적 실천 속에서 새로운 인식론적 가치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13] 


        

 


ct. 상대주의/회의주의 


"이러한 유물론적 입장은, 바슐라르가 고전 시대의 관념론 철학이 '인식의 문제'라고 부르던 것의 이론적 공간을 떠나도록 만들고 있다." [14-15] 



여기에 실려 있는 글들은, 3년이 넘는 기간 동안에 씌여진 것으로서, 명백하게 하나의 조우(encounter)를 표시하고 있다. 그것은 프랑스에서 변증법적 유물론-- 맑스주의 철학 --과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에 의해 시작된 인식론적 전통을 만나게 했던 이론적 조우이다. - P7

그것은 ‘인식론적 단절‘ 개념이 어떤 한계 내에서, 따라서 어떤 유보들을 가지고 과학성에 대한 역사적 유물론의 주장을 지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내적 비판의 노력을 통해서, 바슐라르의 범주 체계를 역사 유물론의 체(sieve)로 걸러 내는 문제였다. - P9

나는 인식론 그 자체의 영역으로 빠지게 되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논의하고 있었던 독창적인 인식론적 전통이 인식론 혹은 과학 철학이라는 이름하에, 특히 앵글로-색슨계 국가들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의 가장자리에서 어떻게 구성가능한가에 대해서 설명해야 했기 때문이다. - P9

이 과학 문화의 철학은 바슐라르의 설명에 따르면, ‘인식론적 가치들‘의 점진적인 출현과 항구적인 재조직으로서의 과학사를 드러내야 한다. - P12

가치들(윤리적, 미학적, 종교적 가치들)의 철학의 유심론적(spiritualist) 경향에 지배되고 있는 프상스의 철학적 전통에 반대하면서, 바슐라르는 인식론에도 가치들을 다룰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 P12

과학들의 운명 속에서 합리적 가치들은 부여된다. 그것들은 역사적으로 부여된다. 과학사는 일종의 자율적 필연성에 의해서 나아간다. - P13

과학적 진리의 진리성은 저절로 ‘부여된다‘. 스피노자식으로 말하면, ‘veritas norma sui‘(진리는 그 자신의 척도이다). - P14

인식론적 ‘가치‘는 현재적이지 않은 것(what it is not), 즉 현재적인 것의 이전 것이거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가치절하한다. - P1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idos 2022-07-19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적 가치들로부터 격리된 개념들의 합리적 조직으로서의 관념론적 철학에 반하여, 실증주의와 상대주의/회의주의 모두에 대항하여, ‘인식론적 가치‘(epistemological value)들의 점진적인 출현과 항구적인 재조직으로서의 과학사를 드러내기 위해, 역사적으로 부여되는 자율적 필연성에 따르는 과학사로부터 현재적이지 않은 것(what it is not)의 가치를 판단하여 과거의 잔존물의 자격을 박탈함으로써 경계 설정이라는 비판적 효과를 갖는 유물론적 변증법을 제안한다.
2013년에 <영역판 서문>만 읽었나 본데, 밑줄을 보니 지금보다 얼마나 감이 없었는지 알겠고, 메모를 보니, 참 무척 애를 쓰셨구만.
푸코 싫은데, 내가 푸코를 쓸 수밖에 없었던 지점이 (알튀세르를 통한) 정확히 바슐라르로부터의 유산이었음을 알게 되어 기쁘다. 비록 유물론은 질색이라 전적으로 입적할 수는 없지만. 태생적으로 포퍼 쪽이고.
과학을 활동으로 보는 한, (쿤과는 무관하게. 쿤은 이미 고딩 때 바로 버린 바 있음.) 야니히나 바슐라르나 참고가 될 수밖에.

 



원제: 陰翳礼讃 (In'ei Raisan; In Praise of Shadows

다니자키 준이치로 (谷崎 潤一郞; Jun'ichirō Tanizaki, 1886-1965)


[NHK World] Tanizaki Junichiro on Japanese Aesthetics: In Praise of Shadows 





일본 다다미방의 아름다움은 전적으로 음예의 옅고 짙음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며 그것 말고는 아무것도 없다. 서양인이 일본의 간소한 다다미방을 보고 단순히 회색 벽만 있고 아무런 장식도 없다면서 놀라워하는 이유는 당연하게도 그들은 음예의 비밀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 P10

특히 간토(関東)의 화장실에는 바닥 쪽에 좁고 긴 창이 있어 처마나 나뭇잎에서 뚝뚝 떨어지는 빗방울이 석등룡 아래를 씻어내고 디딤돌의 이끼를 촉촉이 적시면서 땅에 스며드는 조용한 소리를 더욱 가까이에서 들을 수 있다. 실로 화장실은 벌레 소리에, 새소리에, 달밤에 또한 어울리고 사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정취를 음미하는 데 가장 적합한 공간이며, 아마도 오래전 하이쿠 시인은 이곳에서 무수한 소재를 얻었을 것이다. - P25

다니무라 다이무: ‘음예(陰翳)‘는 음영 가리키기도 하는데, 정확히는 ‘어둑어둑한 그림자‘를 가리킨다. 그리고 다니자키의 <음예예찬>은 지극히 단순하게 말하면 "자신을 포함해 왜 일본인은 어둑어둑한 그림자를 좋아하는가."를 누누이 설명한 글이라 할 수 있다. 독특한 문체로 쓰인 이 수필은 시대를 넘어 일본의 미학을 엿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일종의 성서가 되었으며, 국경을 넘어 미국과 유럽의 지식인에게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