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 ~] [17-255]
원제: Immanuel Kant (1747) Gedanken von der wahren Schätzung der lebendigen Kräfte und Beurtheilung der Beweise derer sich Herr von Leibnitz und andere Mechaniker in dieser Streitsache bedienet haben: nebst einigen vorhergehenden Betrachtungen welche die Kraft der Körper überhaupt betreffen (en= Thoughts on the True Estimation of Living Forces)
해제 (옮긴이 김상현) [429-444]
- 살아 있는 힘'(vis viva)에 관한 논쟁: 데카르트주의(운동력) vs. 라이프니츠주의(작용력)
- Descartes (1644) [철학의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II부 35항 이하): 운동량 정의
- Leibniz (1686) [악타 에루디토룸](Acta Eruditorum) - <자연법칙에 대한 데카르트와 다른 사람들의 기념비적 오류들에 대한 간략한 증명>; Leibniz (1694) <제일철학의 개선과 실체개념> - 작용력 개념
- 달랑베르 Jean-Baptiste Le Rond d'Alembert (1743) [동역학개론](Traite de Dynamique)
- 라그랑주 Joseph-Louis Lagrange) (1788) [해석역학](Mecanique analytique)
- 심신(mind-body) 문제, 신의 불변성 문제
- Kant는 "이러한 논쟁의 학본판에서 달랑베르와 마찬가지로 운동량 개념을 재정립하고, 라그랑주에 앞서서 동역학과 정역학의 정립에 초석을 마련하는 자신만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430]
- "이 저작은 당대의 형이상학적 문제가 자연철학이라는 이름하에 '힘'에 관한 논쟁으로 개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31] "표면적으로는 살아 있는 힘 논쟁과 관련한 물리학적 문제를 다루었지만, 사실 그 이면에는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라는 당대 거장에 도전하여 수학에 바탕한 세계관과 형이상학에 바탕한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재정립하려는 칸트 자신의 철학적 기획이 담겨 있다." [431]
- "상반된 데카르트의 수학적/기계적 세계관과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적/역동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적 종합을 시도한 저작" [441]
- "수학적 자연관에서 형이상학적이고 역동적인 자연관의 구출을 기획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살아 있는 힘을 인정하는 것은 곧 실체의 근원적이고 능동적인 힘과 그에 따른 작용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체의 작용력이 공간과 연장에 선행하며, 실체들의 작용력의 관계 법칙에 따라 다수 세계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런 견해들의 배후에는 라이프니츠가 주장한 최선세계론과 예정조화설이 있다." [442]
- "칸트는 한편으로는 라이프니츠의 측정을 인정하고(실체의 능동성), 다른 한편으로는 데카르트의 측정을 인정(실체의 수동성)해서 실체에 관한 이중적 관점을 보이는데, 이는 라이프니츠의 노선을 따르면서도 데카르트의 수학적/기계적 세계관의 영향을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42-443]
[일반 자연사 ~] [257-424]
원제: Immanuel Kant (1755) 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 nach Newtonischen Grundsätzen abgehandelt (en= Universal Natural History and Theory of the Heavens)
해제 (옮긴이 이남원) [445-454]
- 칸트는 "태양계뿐 아니라 우주 전체의 구조와 기원이 어떤 기계론적 법칙에 따라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446] "칸트에 따르면 자연에서의 아름다움과 질서는 목적론적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이유로 칸트가 신의 존재를 부정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다."[446]
- "칸트는 모든 물질이 필연적으로 일정한 법칙에 종속되어 있고, 따라서 기계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물질의 기계론적 질서는 필연적으로 아름다운 결합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신이 자연에 질서와 아름다움을 부여했기 때문에 자연이 질서와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 아니라 물질을 지배하는 제1원리에 따라 필연적으로 조화와 아름다움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연이 질서와 아름다움을 갖는 것이다." [44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