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판 저본: Marxism and Epistemology (1975, 초판) 




원서: L’Épistémologie historique de Gaston Bachelard (1969) + 

Pour une critique de l’épistémologie: Bachelard, Canguilhem, Foucault (1972)





영역판 서문 (7-24쪽)


> 인식론이라는 단일한 분과의 두 경향 사이의 비교


1) 바슐라르 vs 포퍼 


바슐라르의 [새로운 과학 정신](Le nouvel esprit scientifique, 1934 -> en. The New Scientific Mind)과 포퍼의 [과학적 발견의 논리](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1934) "사이에는 어떤 대면의 조짐이나 경쟁의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10]



 [새로운 과학 정신]  [과학적 발견의 논리]  



2) 바슐라르 vs 쿤 


바슐라르의 [현대 물리학의 합리주의적 활동](L'activité rationaliste de la physique contemporaine, 1951)과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이 두 책은 핵심적인 문제들에서 실제로 일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완전한 오류라고 생각한다." [11]


         



"우리는 이러한 진기한 상황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인식론의 역사-- 필연적으로 비교인식론(comparative epistemology)의 형태를 띠게 될 역사 --를 가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나름대로의 지적 국수주의에 기초해 있는 주장들이 불충분하다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 공백에 의해서 야기될지도 모르는 심각한 오해-- 이러한 오해의 이론적 귀결들은 심각할 수 있다. --에 관해서 곧바로 독자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10] 


"내가 보기에는, 바슐라르적 전통의 지배적 경향은 유물론적인데 반해서, 포퍼주의와 그 변종들의 경향은, 그것이 보여 주고 있는 어떤 외양들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관념론적이다." [11] 



ct. 실증주의 


푸앵카레"(H. Poincare) 이후 전통이 되어 버린 '과학의 가치'에 대한 논문들에 반대하여, 바슐라르는 인식론자들에게 현대 과학적 실천 속에서 새로운 인식론적 가치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13] 


        

 


ct. 상대주의/회의주의 


"이러한 유물론적 입장은, 바슐라르가 고전 시대의 관념론 철학이 '인식의 문제'라고 부르던 것의 이론적 공간을 떠나도록 만들고 있다." [14-15] 



여기에 실려 있는 글들은, 3년이 넘는 기간 동안에 씌여진 것으로서, 명백하게 하나의 조우(encounter)를 표시하고 있다. 그것은 프랑스에서 변증법적 유물론-- 맑스주의 철학 --과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에 의해 시작된 인식론적 전통을 만나게 했던 이론적 조우이다. - P7

그것은 ‘인식론적 단절‘ 개념이 어떤 한계 내에서, 따라서 어떤 유보들을 가지고 과학성에 대한 역사적 유물론의 주장을 지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내적 비판의 노력을 통해서, 바슐라르의 범주 체계를 역사 유물론의 체(sieve)로 걸러 내는 문제였다. - P9

나는 인식론 그 자체의 영역으로 빠지게 되었다. 왜냐하면 나는 내가 논의하고 있었던 독창적인 인식론적 전통이 인식론 혹은 과학 철학이라는 이름하에, 특히 앵글로-색슨계 국가들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의 가장자리에서 어떻게 구성가능한가에 대해서 설명해야 했기 때문이다. - P9

이 과학 문화의 철학은 바슐라르의 설명에 따르면, ‘인식론적 가치들‘의 점진적인 출현과 항구적인 재조직으로서의 과학사를 드러내야 한다. - P12

가치들(윤리적, 미학적, 종교적 가치들)의 철학의 유심론적(spiritualist) 경향에 지배되고 있는 프상스의 철학적 전통에 반대하면서, 바슐라르는 인식론에도 가치들을 다룰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 P12

과학들의 운명 속에서 합리적 가치들은 부여된다. 그것들은 역사적으로 부여된다. 과학사는 일종의 자율적 필연성에 의해서 나아간다. - P13

과학적 진리의 진리성은 저절로 ‘부여된다‘. 스피노자식으로 말하면, ‘veritas norma sui‘(진리는 그 자신의 척도이다). - P14

인식론적 ‘가치‘는 현재적이지 않은 것(what it is not), 즉 현재적인 것의 이전 것이거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가치절하한다. - P1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idos 2022-07-19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연적 가치들로부터 격리된 개념들의 합리적 조직으로서의 관념론적 철학에 반하여, 실증주의와 상대주의/회의주의 모두에 대항하여, ‘인식론적 가치‘(epistemological value)들의 점진적인 출현과 항구적인 재조직으로서의 과학사를 드러내기 위해, 역사적으로 부여되는 자율적 필연성에 따르는 과학사로부터 현재적이지 않은 것(what it is not)의 가치를 판단하여 과거의 잔존물의 자격을 박탈함으로써 경계 설정이라는 비판적 효과를 갖는 유물론적 변증법을 제안한다.
2013년에 <영역판 서문>만 읽었나 본데, 밑줄을 보니 지금보다 얼마나 감이 없었는지 알겠고, 메모를 보니, 참 무척 애를 쓰셨구만.
푸코 싫은데, 내가 푸코를 쓸 수밖에 없었던 지점이 (알튀세르를 통한) 정확히 바슐라르로부터의 유산이었음을 알게 되어 기쁘다. 비록 유물론은 질색이라 전적으로 입적할 수는 없지만. 태생적으로 포퍼 쪽이고.
과학을 활동으로 보는 한, (쿤과는 무관하게. 쿤은 이미 고딩 때 바로 버린 바 있음.) 야니히나 바슐라르나 참고가 될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