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식으로 글을 쓰면 안됩니다!
시민 K, 교회를 나가다 - 한국 개신교의 성공과 실패, 그 욕망의 사회학
김진호 지음 / 현암사 / 2012년 3월
절판


한국교회와 시민정신을 생각하다.

처음 이 책의 저자를 욕한 것을 읽고 많은 사람들이 댓글을 달아 놓았다. 사실 이 책은 내가 생각해보건데 그리 기분좋은 책은 아니다. 왜냐하면 한국 기독교인의 한 사람으로, 너무 많은 치부를 드러내 보이기 때문이다. 단순한 교회 비판을 넘어 저자인 자신이 신학을 전공했고, 한국교회의 일원으로서 한국교회가 가진 부끄럽고 추한 모습을 잘 앍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이 책을 그리 달갑게 여기지 않는 이유는 그의 비판이 정당하지 못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앞선 글에서도 밝혔지만, 저자는 처음부터 교회를 비판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 점에서 대해서 나는 그리 좋은 점수를 주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그럼, 이 분의 생각을 끝까지 거부하면서 고집스런 보수 기독교의 정신을 대변하는 것은 옳을까? 라는 질문에는 "아니다!"이다. 정말이지 이 분의 한국 기독교 역사를 평가하고 요약하는 부분에 있어서서 매서울만큼 예리하다. 한국교회사를 아는 사람이라면 이 책의 거의 대부분에 공감하고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난 이번에는 단순한 비판은 넘어 이 책에서 말하는 교회와 시민에 대하여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저자의 개신교관
먼저 저자의 개신교관에 대하여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저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가장 타당한 이유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첫째, 한국의 개신교를 '미국의 정신이 임한 것'으로 규정한다. 이것은 근대 정신이 미국에서 건거온 그 어떤 것으로 규정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것은 조선에 반하는 것으로 조선의 정신은 미신으로 치부하는 근저에 깔린 한국 개신교의 정신을 보여준다.
둘째, 한국의 개신교의 보수를 반공정신으로 무장한 집단으로 묘사한다. 1부에서 저자는 반공의 이유를 일제 시대 신사참배의 수치를 벗어나려는 반동으로 해석한다. 즉 증오로서 반공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증오의 현상은 기도원 운동과 부흥운동, 물질주의, 성장 주의 등으로 재해석한다.
셋째, 저자는 한국의 개신교 그 중에서도 보수를 중산층의 욕망과 결합시킨다. 중산층은 곧 개신교 보수주의자들이 되는 셈이다. 나름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자 이제 그의 한국 교회 역사에 대한 생각을 살펴볼 차례다.

간략하게 3부로 나누었다. 단계는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부에서는 두 구분으로 나눈다.
1. 미국의 정신으로 들어온 선교사들에 의한 초기역사,
2. 7080년대 한국식으로 바꾸어진 성장의 시기,
2부에서는
3. 고립된 성이된 한국 교회의 현실
4. 신들의 귀한, 그러나 갈 곳이 없는 현대교회
3부에서는 한국교회의 미래를 진단하고 대안으로 제시한다. 즉 작은 교회운동이 그것이다.
5. 작은 종교의 탄생으로서의 작은 교회

한국교회의 한 일원으로서의 저자의 지적은 치밀함을 넘어 부끄럽게 한다. 지금까지 한국교회사를 비평함에 있어서 김진호씨 만큼 탁월하게 비평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특히 '시민'이란 개념으로 교회를 넘어 인권의 문제까지 다룬 것은 탁월한 안목이 아닐 수 없다. 저자가 주장하고 비판한 내용은 거의 대부분이 사실이고, 물론 왜곡되고 편견에 사로잡히 부분이 일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렇다 저자가 말하고 있는 '시민' 그는 누구일까? 상식적인 선에서 시민은 근대의 개념을 수렴한 중산층을 대변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지식층이고, 민주적이고, 상업적이고, 이성적인 사람들이다. 시민정신의 출현은 프랑스 혁명이 아니다. 영국의 청교도 혁명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세계 역사에서 근대정신은 종교개혁에서 비롯되었으며,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며, 한 개인의 권리를 주장하는 정신을 말한다. 이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시민정신은 곧 민주주의로 대체가능하다.

그런점에서 한국교회를 비평함에 있어서 시민이란 단어로 요약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또한 그 시민이 미국의 정신을 넘어 민주정치를 실현하는 개체로 담론의 주제가 되는 것도 정당한 일이다.


필자는 저자가 서두에서 말하는 고아정신을 그가 말하는 시민의식으로 생각했다. 옳은 판단인지는 몰라도 그렇게 보인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시민종교를 2008년에 행해졌던 미국산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라고 말한다. 이것은 시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는 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시민은 집단이 아니라 개인이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 그리고 인권을 보장하는 것이 근대이고, 시민정신이다. 이런 점에서 저자의 견해는 많은 부분 동감한다.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는 그 추동의 주체로서, '시민의 등장'과 얽혀있다. '시민'이란 군부 권위주의 시대의 '국민'에 대비되는 존재로서, 국가와 거래하고 국가의 성공이 곧 자신의 성공이라는 자의식 속에서 국가 부여한 역사적 사명을 내면화한 수동적 주체가 아니라 '국민'이라면, 국가와 거래하고 교섭하면서 자신에게 유리한 민주적 제도를 도모하는 주역이 바로 시민'이다.(140쪽)

저자의 결론은 간단하다. 작은 교회로 돌아가라는 것이다. 일부 개신교에서 말하는 큰 교회를 목표로하는 짝퉁 작은교회가 아니라, 작은 교회 그 자체인 것이다.

물음은 "그럼 왜 작은 교회인가"이다. 저자는 무엇 때문에 작은 교회를 지향하는 것일까?

저자가 주장하는 작은 교회의 모습은 이것이다.

탈권위적, 탈 제도적, 더 친화적인 이유때문이다.(214쪽) 또한 작은 교회는 소통을 위한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는 수평적 소통을 원칙으로 한다. 설교를 목사가하는 배타적 영역이 아니라 서로 설교하고 서로 축복하는 방식을 취한다. 왜냐하면 시민이기 때문이다. 시민은 어느 누구 한사람은 특별하게 대우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웃과 수평적 관계는 맺는 '존재론적 특권'이 있다.(216쪽) 대형교회가 이웃을 적대시한다면 작은 교회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기독교의 정치화를 우려하면서 세상을 교회의 적으로 만드는 행위라고 말한다. 정치는 본질적으로 권력을 추구하고 안정을 위해 공의로운 심판을 기본으로 한다. 약자에 대한 배려나 소통은 힘든 것이다. 작은교회로 가야하는 이유는 더욱 분명해 진다. 사회를 친구로 만들고 살리기 때문이다.

이미 두 달전에 모두 읽고 묵혀 두었다. 생각할 것이 많았기 때문이다. 다시 이 책을 읽고 내린 결론은 겸허하게 받아 드릴 부분이 참 많다는 것이다. 약자를 배려하고, 물질적 성공이 아닌 소통의 성공자가 되기위해서는 섬김의 리더십으로서의 교회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는 다시 시민정신으로 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