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라이프]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스틸 라이프 아르망 가마슈 경감 시리즈
루이즈 페니 지음, 박웅희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고즈넉하고 조용한 마을 스리 파인스가 있다. 살인사건은 저 먼곳에서나 벌어질 것 같았던 너무나 평범하고 조용한 시골마을. 그런데 어느 가을날 마을의 한 노인이 살해당하여 주검으로 발견되고 만다. 그것도 마을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고 사랑하던 제인 닐 할머니의 시체가. 마을은 경악하고 슬픔에 잠기지만, 곧 평범했던 마을의 모습은 깨져버리고 정체모를 불안한 기운에 휩싸이게 된다. 이때 제인 닐 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아르망 가마슈 경감과 그 팀이 마을을 방문하게 되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된다. 

멋들어진 만듦새를 자랑하는 표지와 편집을 보며, 처음에는 이 책이 스릴러쪽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장르는 이리보고 저리보아도 추리쪽인지라 조금 갸우뚱했다. 비슷한 시기에 읽은 인어의 노래와 형식은 분명 비슷한데 장르는 이렇게 미묘한 차이가 있다니. 역시 난 장르적 차이를 잘 구별 못한다는 것을 새삼 실감했다. 하긴 시간여행자의 아내도 장르가 SF라는 것을 보면, 이런 문학적 분류가 무의미해보이기도 하지만서도.  

그러나 나는 이 책의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이 책이 스릴러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스릴러쪽으로 들어가기엔 이 책은 너무 착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살짝 고전적이고 담백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보통 스릴러와 추리소설에 가장 큰 장치는 반전이다. 사실 그 반전을 위해서 대부분의 이야기가 진행된다고 할 정도로 보통의 장르소설들에겐 상당히 공을 들인다. 그만큼 그 장치가 가진 위력은 가히 폭발적이다. 사람들은 게임을 플레이한 과정보다 결말에 한번 빵 터지는 짜릿한 감정을 더 오래 기억하는 법이니까. 게다가 스릴러라는 장르라 하면 그런 짜릿함이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는 그런 반전이 없었다. 대신 사람간의 관계와 그들이 캐릭터에 조금 더 치중한다.  

따라서 짜릿한 말초적인 장르소설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조금 아쉬울 것 같다. 하지만 나처럼 사람간의 관계와 이야기전개에 조금 더 치중하는 독자라면 이 책에 대한 만족감은 상당히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셜록홈즈나 애거서 크리스티 시대의 장르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꼭 추천해주고 싶다. 다 읽고 난다면 아마도 이 책의 작가 루이즈 페니에게 왜 그 시절의 소설에 계승자라고 하는지 모두들 느낄 수 있으리라. 여기에 루이즈 페니의 필력을 맛볼 수 있는 즐거움은 꽤 호화로운 덤이라고 해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