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는 역사상 모든 정보 네트워크가 인간 신화 제작자와 인간 관료에게 의존해 작동했다. 점토판, 양피지 두루마리, 인쇄술, 라디오가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래도 텍스트를 작성하고 해석하는 일, 누구를 마녀로 점찍어 화형시키고 누구를 쿨라크로 점찍어 노예로 만들지 결정하는 것은 언제나 인간의 몫이었다. 하지만 이제부터 인간은 디지털 신화 제작자들, 디지털 관료들과 경쟁해야 한다. 21세기에 정치가 분열된다면, 민주주의와 전체주의 사이의 분열이 아니라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분열이 될 것이다. 새로운 실리콘 장막은 민주주의 체제를 전체주의 체제와 분리하는 대신, 모든 인류를 불가해한 알고리즘 지배자와 분리할 것이다.

더 강력한 정보 기술을 만들어내기만 하면 세상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믿는 순진한 관점이 틀린 이유가 여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문은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소책자로, 훨씬 강력한 자정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전의 일회성 소책자와는 달랐다. 주간지나 일간지는 일회성 간행물과 달리 실수를 바로잡을 기회가 있었을 뿐 아니라, 대중의 신뢰를 얻으려면 그렇게 해야 했다.

"한 신문에서 다른 신문에는 없는 소식을 항상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후 몇십 년 동안 네덜란드에서 수십 종의 신문이 추가로 발행되었고, 네덜란드는 바야흐로 유럽의 언론 중심지가 되었다.4

널리 신뢰를 얻는 데 성공한 신문들은 여론의 설계자이자 대변자가 되었다. 신문은 정보에 밝고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중을 탄생시켰고, 이는 처음에는 네덜란드에서, 나중에는 전 세계에서 정치의 성격을 바꾸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프카식 이야기의 독특한 공포는 위협의 불가해성에서 온다. 우리 마음은 호랑이로 인한 죽음을 이해하도록 진화했다. 그래서 문서로 인한 죽음을 이해하는 것이 무척 어렵다

이런 예술 작품들은 관료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리는 데 일부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 작업은 지난한 싸움일 수밖에 없다. 우리 마음은 석기시대부터 줄곧 관료제 드라마가 아니라 생물학 드라마에 몰두하도록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점을 선거가 아니라 대화에 맞추면 수많은 흥미로운 질문들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런 대화가어디서 이루어지는가?’라고 물을 수 있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에 있는 만수대 의사당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687명이 모여 대화를 나눈다.

여기서의 오해는 민주주의를 선거와 동일시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력 이동이 일어났다. 문서가 많은 사회적 사슬을 잇는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면서 문서에 상당한 힘이 부여되었고, 문서의 난해한 논리를 다루는 전문가들이 새로운 권력층으로 떠올랐다.

이런 권력 이동은 세상의 힘의 균형을 바꾸었다. 좋든 나쁘든 문서를 다룰 줄 아는 관료 집단은 일반 시민을 희생시켜 중앙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문서와 기록 보관소 덕분에 중앙에서 세금을 부과하고, 재판하고, 징집하는 것이 더 쉬워진 면이 있었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었다. 관료 권력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기 어려워지면서 대중의 입장에서는 정부에 영향을 미치거나 저항하거나 그것을 회피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