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당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레이먼드 카버라는 생소한 작가의 작품 <대성당>이다. 12편의 단편이 실려있는 단편집으로 그의 대표작이 <별것 아니지만 도움이 되는><대성당>이다. 이 두편이 카버가 소중히 여기는 단편작이라 한다. 사실 나는 이 단편들을 읽으면서 알렝드 보통의 에세이집을 읽는 듯한 느낌에 빠져 들었다. 알렝드 보통의 책보다는 좀 쉽지만, 일상의 리얼리즘은 그에 못지 않은 것 같다. 리얼리즘이 너무 강하다 보면 좀 철학적으로 흐르기 마련이다. 일상의 세밀한 묘사속에 작가 자신의 내면과 철학을 반영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12편의 작품 중에 결말이 애매하게 끝을 내고 있어 짚은 여운을 남기고 있는 작품들이 있다. <깃털들> <보전> <비타민> <조심> 등을 읽고 나면 한국의 미술에서 느끼는 여백의 느낌이 너무 커서 그 여운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단순한 그 현상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무언가 어떤 메세지를 주고자 하는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레이먼드 카버를 수식하는 말들이 많은데, <헤밍웨이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가>< 체호프 정신을 계승한 작가> 로 불린다. 안톤 체호프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을 읽었을 때와 비슷한 , 그 상황에 대한 해석의 어려움이 밀려온다. 그러니 체호프를 계승한 작가는 맞는 듯 하다. 고전스럽거나 문학상들에 버금가는 작품들을 보면 단순하게 줄거리가 진행되는 추리 소설과는 다르게 깊은 철학적인 메세지를 담고 있는 경향이 많다. 당췌 무슨 메세지를 주려는지 단순한 이해로는 힘들다. 그래서 어려워 보이고, 무언가 있어 보이는 작품들이 고전이라는 이름아래, 더 각광을 받고 있는 지 모르겠다. 사실 흔히 요즘의 베스트셀러들은 읽기 쉬운 반면에 쉽게 잊혀지는 경향이 많다. 그것은 너무 쉬운 데서 오는 가벼움 때문에 머리속에서 쉽게 증발해 버리는 것이 아닐까 싶다.

내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몇 작품에 비해 카버가 소중히 여기는 <별것도 아니지만 도움이 되는> 과 <대성당>은 메세지가 쉽게 다가와서 오히려 감동이 전해져 온다. 아이를 교통사고로 잃어 버리고 당황스럽고 힘든 부부에게 빵집 주인의 케이크를 찾아 가라는 전화는 화를 돋우게 된다. 그런 빵집을 찾은 부부는 오히려 빵집 주인이 만든 빵을 먹으면서 빵집 주인의 이야기 속에서 풍겨져 나오는 솔직함 때문에 공감을 하게 된다. 그 공감이 죽은 아들을 인정하게 되고 마음의 안정을 찾아 가게 되는 계기로 그려지고 있다.

141 "내가 갓 만든 따뜻한 롤빵을 좀 드시지요. 뭘 좀 드시고 기운을 차니는 게 좋겠소. 이럴때 뭘 좀 먹는 일이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될 거요." 그가 말했다.

142 그들은 지치고 화가 나 있었지만, 빵집 주인이 하고 싶어하는 말에 귀를 기울였다. 빵집 주인이 외로움에 대해서, 중년을 지나면서 자신에게 찾아온 회한과 무력감에 대해서 말하기 시작할 때부터 그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아들을 잃어 가장 심한 상실감에는 오히려 가장 일상적인 행동, 즉 빵을 먹는 따위의 일이 오히려 도움이 되고, 자신만이 느끼는 상실감외에도 중년 빵집 주인의 회한과 무력감을 알아가자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는 단순한 생활의 진리를 발견하게 된 것이다.

거창한 <대성당>에서 벌어지는 어떤 일들을 떠올린다면 오산일 가능성이 많은 <대성당>~ 맹인 친구를 둔 아내가 이상해 보이고, 그 맹인을 초대해서 하룻밤 같이 지내는 동안 전혀 다른 세계에 살것 같은 맹인의 세계에 주인공도 같이 빠져 들게 되어 공감을 불러 일으키게 한다. 그것도 맹인과 손을 맞잡고 그려보는 대성당의 그림속에서..... 이야기 화자인 '나'는 생소한 맹인에게 텔레비젼에서 보여주는 대성당에 대한 이야기를 말로 표현해 주고 있다. 하지만 말로 표현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대성당의 모습을 알고 싶어 하는 맹인 로버트의 제안으로 손을 맞잡은 ' 나'는 눈을 뜨고 대성당 그림을 그리다 눈을 감고 맹인의 처지에서 그리게 된다. 그러면서 나타나는 동질감에 '나'는 이거 진짜 대단하군요. 라는 말로 공감을 표현한다.

 344 텔레비젼에서 대성당 하나가 나왔다. 그러더니 오랫동안 천천히 또다른 성당을 비추었다. 마침내 화면은 벽날개와 구름에 닿을 듯 치솟은 첨탑이 있는, 파리의 그 유명한 대성당으로 바뀌었다.

 353 나는 여전히 눈을 감고 있었다. 나는 우리집 안에 있었다. 그건 분명했다. 하지만 내가 어디 안에 있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이거 진짜 대단하군요." 나는 말했다.

 카버의 단편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이혼을 했거나 알콜 중독자 거나 실직을 당한 , 어찌보면 우울하고 스산한 생활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인물들의 행동과 주변 배경의 묘사가 섬세하여 소설의 결말은 오히려 <종소리 처럼 긴 여운>을 주는 묘한 매력을 품고 있다. 이런 필체에 헤밍웨이, 체호프와 유사한 찬사를 보내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