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글랏 프로그래밍 - 새로운 자바 언어를 기다리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임백준 지음 / 한빛미디어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임백준 저자분의 책을 읽은 겉다.


사실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라는 제목을 보고
여러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는 구현적인 부분의 
내용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보통 주언어로 자바를 사용하면서 
그에 대한 자동화 처리는 자이션 을 쓴다던지 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그런 부분으로 내심 기대를 했었다.


책의 내용은 그러한 프로젝트의 구현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는건 아니다.


그동안 읽었던 책이 프로그래밍의 미학(?) 적인 내용이었다면
이번 책은 조금 공격적(?) 인 내용의 책인거 같다.


책의 서두에 적혀있듯.
국내의 IT 는 참 점점 더 우울하게 진행되는듯 하다. 
그렇다고 국내의 개발자들이 다른 나라의 개발자들보다 못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주변에 잘하는 개발자들도 참 많이 봐오기도 했고..


문제는 국내의 인식은 인력이 들어가는 일은 아까워하는 이상한 
인식이 좀 있어서 하드웨어 쪽으로는 돈을 많이 투자하지만 
사람에게는 별로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안그런곳도 있겠지만..


책은 시대별로 이슈가 되었던 여러 개념들에 대해서 
그 개념들과 더불어 대세가 되었던 언어들 그리고 대세가 될 언어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상당히 느린 행보를  하고있다고 보는  자바가 주로 비교대상이다.


개인적으로 여러 프로그램언어들에 관심이 있어 가끔씩 
다른 언어들을 찾아보고 살펴본다.
잠깐씩 그렇게 살펴며 나중에 필요할때 사용하려고
어떠한 방식인지만 알아본다. 


책은 어찌보면 좀 지루할수도 있다. 
상당히 서술형이다. 
하지만 내용은 재미있었다.


프로그램언어들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나 그 창시자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해당 언어가 추구하는 개념들에 대한 내용은 
재미있었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들만 읽어봐도 
많이 도움이 될 듯 하다.


개인적으로 중간중간 쉬어가는 여유가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그래밍 면접 이렇게 준비한다 - 3판
존 몽건 & 에릭 기게리 & 노아 수오야넨 킨들러 지음, 서환수 옮김 / 한빛미디어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 프로그래밍 면접 이렇게 준비한다. 

라는 책이 나왔을때 흥미가 있어서 한번 읽어보려고 했는데

그러지 못한거 같다. 


왜 읽어봤던거 같은지..-_-;;

이 책은 개정판으로 이번엔 읽을 기회가 있어서 읽게 되었다. 


책은 손에 들고 다니기 편한 정도의 크기이다.

그래서 좀 얇아보이긴 하지만 400 페이지 정도 두께의 책이다. 


책의 제목만 보고 처음엔 프로그래밍 면접에 대한 일반적인 얘기가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그래서 왜 이리 책이 두껍지 하고 좀 의아해했다. 


이 책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일반적인 면접이라기 보단

기술면접에 대한 부분을 담고 있다.

비슷한 느낌의 책을 꼽으라면 개인적으로는 '유쾌한 자바 퍼즐러' 와

조금은 비슷한 느낌이다. 


책의 구성방식은

해당 주제영역에 대해서 간략하게 그 내용을 소개한다. 

정렬에 대한 주제라면 정렬의 일반적인 몇가지 방식에 대해서 내용을 설명하고


그에 따라 정렬에 대한 면접문제를 제기 한 후 

그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하는 식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먼저 면접주제의 내용을 설명하는 구성은 참 괜찮은거 같다. 

그냥 면접문제를 내놓고 설명하는것보단 내용을 먼저 한번 정리하고 들어가는 부분이

좋았다. 


책은 서술형인데 

설명하는 내용이 좀 많기에 읽는데 조금 지루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좀더 삽화라던가 그림을 넣어 설명을 덧붙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내용이 긴 중간에는 쉬어가는 이야기 같은게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책은 기술면접에서 기술적으로 내놓을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고 하지만

해당 내용들 자체는 일반적인 기본서의 내용들 만큼 충실한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경험한 SI 쪽의 경우는 이 책의 내용의 기술면접과는 틀리다. 

업무중심이 많기 때문에 그 업무에 대한 경험이 있는지가 면접의 주 내용이 된다.

개인적으로 경험한 부분은 회사의 입사시 면접이라기 보단 SI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면접이이기에 당연히 비교할 수는 없지만


예전 초기에 접했던 경험을 되집어보면

30분가량 시험을 봤던 기억이 있다. 

나는 자바 프로그래머로 면접을 봤었는데 자바에 대한 내용과

그때 이슈였던 EJB 그리고 DB 관련 문제에 대해 30분정도 내가 생각하는 내용을 시험지에 풀고

그리고 팀면접으로 해당 시험지에 푼 문제에 대해서 입시하면 내가 속할 팀원들과 토론을 한 기억이 있다. 


해당 기술면접은 국내나 국외나 회사마다 그 방식은 다 틀릴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부분도 그중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는 것이니까. 


중요한것은

기본 내용을 물어보진 않는다. 

그 기본내용을 기반으로 한 내용을 물어본다. 


예를들면

자바에서 String a="jaeoo"; String b="jaeoo";  System.out.println(a==b);

에 대해서 물어보진 않는다. 

a==b 가 되기위해선? 을 물어본다. 


말이 길어졌지만

책은 프로그래머를 준비하는 분들이나 경험자들도 읽어보면 괜찮은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이 레디스다 - 초고속 읽기 쓰기를 제공하는 인메모리 기반 NoSQL, Redis
정경석 지음 / 한빛미디어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현재 데이타를 저장하는 방식은 

정보를 다양하게 처리하고 보여주기 위해 그에따른 

관계를 맺고 처리하는 관계형을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데이타양이 많아지면서 그에 따른 많은 관계를 생성하는 관계형에서는 

그만큼 성능문제가 대두되어 끊임없이 성능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는걸로 안다. 


이제는 정보의 전달방식이 많이 바뀌면서 한 지역이나 한 국가 차원이 아닌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데이타가 발생을 한다. 

핸드폰으로 많이 사용하는 SNS 와 같은 혹은 유튜브 같은 사이트는 

그 처리 데이타량이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관계형에 중점을 둔 데이타베이스로 대용량 데이타에 대한 처리를 하는데는 비용적인 부분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그래서 그러한 빅데이터 처리부분에 대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는 부분이 NoSQL 이다. 

[위의 부분은 책의 앞 서두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


데이타의 쓰기 와 읽기에 중점을 둔 처리 

보면 참 대단한거 같다. 어떻게 이런 생각들을 하는지.. 


이 책은 NoSql 의 하나인 레디스에 대해 다룬 책이다. 

앞 서두에 빅데이타 나 NoSQL 에 대한 개념적인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설명부분이 참 좋은거 같다. 

짧은 내용의 글이지만 알기쉽게 설명되어 있어 좋았다. 

그냥 단순히 빅데이타 처리에 대한 내용을 얘기하는데 왜 그러한 처리를 위해 많은 연구를 하는지

그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어 좋았다. 


레디스의 처리방식과 그에 따른 명령어들로 

데이타를 처리해보고 그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며 방식을 설명하는 부분도 좋았던거 같다. 

레디스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식을 많은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진 않지만 따라해보기에는 

무난할 듯 하다. 


관계형의 구조와 그 구조를 비슷하게 레디스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보여주는부분도 좋았던거 같다. 

물론 관계형의 복잡한 구조를 가져가는 건 아니다. 


활용사례로 쇼핑몰 사이트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레디스를 적용하는 과정도 좋았던거 같다. 

쇼핑몰 사이트를 구현하면서 여러 요건에 대해서 해당 요건에 맞춰 레디스를 적용하고

문제점이 대해서 처리해 나가는 방식은 흥미로웠다. 

다만 실제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웹화면도 같이 보여주면서 설명을 했다면 좀더 재미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가상인물들이 나오는데 그 인물들의 다른 입장에서의 얘기들도 좀 있었다면 

좀더 재미있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도 있다. 


책은 재미있게 읽은거 같다. 

레디스를 사용해보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o it! HTML5 + CSS3 웹 표준의 정석 - 기초부터 반응형 웹까지! HTML 권위자에게 정석으로 배워라! Do it! 시리즈 12
고경희 지음 / 이지스퍼블리싱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두께는 700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얇은 편은 아니다.


책의 구성은
1. html 의 역사와 현재 html4 와 html5 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2. 마찬가지 구성으로 css 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3. 1,2 의 기초로 하여 pc,스마트의 보여지는 화면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반응형 웹사이트를 만드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다.


첫째로 책의 구성은 읽기 좋게 구성이 되어 있는거 같다.
전체적으로 칼라풀 하기도 하지만
한 내용에 대해서 거의 한 영역에 표시를 하고 있어
한눈에 볼 수 있어 읽기 좋았던거 같다.


한단원이 끝나면 퀴즈 부분이 있고
중간중간 그대로 따라해서 구현해보는 따라해보기 가 있는데
따라해보기는 개인적으로 좋았던거 같다.


1파트에서는
html5 가 등장하기까지의 배경설명이 있어 좋았던거 같다.
html 작업을 위해 관련 툴 설치부터 
무료 웹호스팅 을 만들고 ftp 프로그램을 설치 및 해당 만든 html 를 올려
확인하는 작업을 일련의 과정으로 설명을 하고 있는건 참 좋은거 같다.
로컬에서의 작업만이 아닌 서버에 올리고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
직접 해볼 수 있는 방법을 다루고 있어 좋았던거 같다.


html5 의 태그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부분들은 좋았지만
기본적인 내용도 좋지만
canvas 같은 태그를 이용한 재미난 화면도 보여주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2파트에서는
css 의 선택자에 대해서 다루고 속성으로 화면을 어떻게 꾸미는지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각각의 속성마다의 설명과 그에 따른 결과화면을 보여주는 부분은 좋았던거 같다.


개인적으로는
중간중간 해당 속성을 추가할때마다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화면의
구성도 있었다면 좀더 재미있었을거 같다.


3파트에서 다룬 반응형 웹을 만드는 미디어쿼리 부분이나
유도형 레이아웃을 만드는 방법을 다룬 부분은 재미있었다.


해당 관련해서 반응형 웹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유의점 이라던가 구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몇가지 사례 같은게 있었다면 더 재미있었을 거 같다.


전체적으로 책은 읽기 쉽고 재미있는거 같다.
html5+css3 입문자가 보기에 참 괜찮은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 개정판, 자바스크립트에서 제이쿼리, 제이쿼리 모바일까지 한 권으로 끝낸다
윤인성 지음 / 한빛미디어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책을 받아보고 책의 
두께에 상당히 놀랐다. 
책은 생각보다 많이 두꺼웠다.


책의 구성은
크게 자바스크립트, JQUERY, AJAX, JQUERY 플러그인과 할용
으로 나뉜다.


1파트에서 자바스크립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2파트에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JQUERY 에 대해서 알아본다.
3파트에서 서버와의 통신으로 AJAX 를 알아보고
4파트에서 JQUERY 의 플러그인과 그에 따른 활용에 대해서 알아본다.


해당 구성은 좋은거 같다. 
먼저 기본적인 자바스크립트를 알아보면서 그에 따라 확대해 가는 과정은 좋은거 같다.


1파트의 자바스크립트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다른 책들이 자바스크립트의 활용부분에 중점을 두는 반면
자바스크립트 를 프로그램언어 적인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거 같아 참 좋았던거 같다.


특히나 자바스크립트의 타입부분이나 함수부분, 
제어문에 대한 설명에선 순서도로 그 순서과정을 설명하는건 참 좋았던거 같다.


분량으로는 책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내용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가장 좋았던거 같다.


2파트는 JQUERY 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JQUERY 의 접근방식이 CSS 의 접근방식을 기본으로 따르고 있는데 
HTML 과 CSS 를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독자를 대상으로 한다지만 
해당하는 선택자에 대한 부분을 좀더 자세한 내용이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JQUERY 에 대해서도 바로 JQUERY 의 사용방식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JQUERY 의 동작방식 같은 부분도 좀더 다루었다면 더 재미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3파트의 AJAX 를 이용한 서버통신 부분을 다루고 있다. 
서버를 node.js 를 사용하고
데이타베이스 mysql 도 사용한다. 
각각이 다룬다면 한권의 책 분량의 내용이라 각각에 대해서는 
설치와 간단한 설명정도만 다루고 있지만 
실제 서버에서 데이타베이스 까지의 처리부분을 다루고 있어 
흐름을 보는데는 좋은거 같다. 
다만 node.js 나 데이타베이스를 모른다면 이해하기 힘들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책은 재미있게 읽은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