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부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강명이라는 이름을 들은 것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표백』의 부분 발췌글을 읽었을 때 였다. 뭔가 시각이 좀 다른 소설가구나 싶었다. 그 다음 이름을 들은 것은 『한국이 싫어서』였다. 이 때 신문기자였다는 이력을 알았고 이슈를 잘 다루는 작가이구나 생각했다. 그의 글을 읽은 건 Y서점 연재 덕이었다. 한국형 좀비물. 아마 출간 예정인 줄로 안다. 이 작품에 한해서는 좀 어정쩡하고 뒷심이 약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물론 여기엔 『한국이 싫어서』에 대한 다양한 리뷰를 읽은 기억도 한 몫 했다. 주인공의 결정에, 어떤 이는 반색하고 어떤 이는 반대했다. 물론 온건한 입장도 있었다. 읽지 않았기에 결정은 보류했지만 원래 편견이 완성되는 과정이라는 게 그렇다. 주어지는 정보 중에서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만 취사선택하는 것이다. 장강명에 대한 나의 편견 또한 그러하다. 풀어내는 과정은 어떠할지 몰라도, 이슈 중에서 소재를 선택하는구나.


하지만 일단 펼치니 책장이 빠르게 넘어간다. 퇴폐성이 드러나는 밤문화는 거북했으나, 자체 정화를 위해 잠깐 알랭 레몽의 글을 읽고 오니 한결 나았다. 이 부분은 소설가가 나름대로 수위 조절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의 직·간접 경험과 문학적 상상력이 합치된 결과보다 실제는 더 할 것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의 신뢰성은 알 수 없지만, 몇 년 전 읽은 룸살롱 문화에 대한 르포기사는 여기 등장하는 것보다 수위가 더 했다.


소설의 구성은 인터넷 여론 선동을 주도한 이의 제보와 회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들의 팀이 어떻게 조직·운영되며 목적 달성을 위해 어떤 지원을 받는가. 타겟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방법은 얼마나 치밀하게 혹은 허술하게 구상되며 이는 어떤 결과를 낳는가. 이 결과와 여론을 선동하는 인물들의 사회적 위치·학력 설정과 비교하면 더욱 흥미롭다. 게임에서 스테이지를 넘기고 주어지는 보상을 받을 때 느껴지는 희열과 같은 감정이 전해지는 부분에선 혀를 차게 되고…


인터넷 커뮤니티 문화에 대한 장강명의 통찰력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기자 출신이니 사회 현상을 큰 틀에서 보는 것이 익숙해서일까. 자료 조사과정에서 위키를 상당 참고했다고 하지만 예상 가능한 범주 안에 있는 반전보다 더 나은, 어떤 면에서는 통합된 정보를 제공한다. 인터넷 문화의 형성과 전파 과정, 사용자들의 수용 과정, 팩트 체크조차 않고 기사를 내보내는 언론과 정보의 진실성. 20·30대는 이미 틀렸으니 미래세대인 10대를 타겟으로 해야 한다는 작전까지… 기시감이 없지 않지만…


보다 정확하게 줄거리를 쓰지 않는 이유는 사전에 제공된 정보 없이 읽는 것이 훨 나으리란 생각이 들어서이다. 등장하는 혹은 언급되는 어떤 인물상에 대입하더라도, 아니 읽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나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 드린다. 어쩌면 그것이 작가의 의도일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문학에 요구되는 어떤 아름다움, 읽기에서 오는 순수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묘사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이러한 대중 조작의 가능성, 그에 대처해야 할 방법은 이 글을 읽는 것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 (2016년 2월 4일 별점 조정)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REBBP 2016-01-07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강명 소설이 한국이싫어서도 그랬고 이번 것도 약간 르뽀같은 느낌을 주는 것 같아요. 술술 잘 읽히기는 하죠.

에이바 2016-01-07 17:30   좋아요 0 | URL
시류에 맞게끔 소재를 잘 다루네요. 공감대 형성은 좋은데 좀 더 성찰이 필요한 느낌이 있어요. 그래야 르포 느낌도 덜할텐데... 왜 리모노프 쓴 카레르도 언론인 출신이잖아요. 장강명 작가도 열심히 쓰다보면 그런 느낌이 나려나요? 근데 이런 작가도 필요한 것 같아요. 문학을 도구로 불편해하는 사실을 끄집어내는... 제 스타일은 아니었지만...

살리미 2016-01-07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젊은 작가로서 도전해볼 수 있는 좋은 소재라고 생각해요. 인터넷 세상도 더러운 권력 못지않게 참 무서운 세상이더만요 ㅎㅎ
자체정화의 방법이 있었는데... 융통성 없는 저는 계속 불편했어요 ㅋㅋ

에이바 2016-01-07 17:38   좋아요 0 | URL
요즘 커뮤니티 게시글에서 보이는 문제점들... 뾰족한 말투, 짧고 쾌감을 주는 자극적인 글 등 연계해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었어요. 오로라님께도 자체 정화를 알려드려야 했는데... ㅋㅋㅋ

한수철 2016-01-08 1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왠지.... 장차, 장강명도 자신이 본격 르뽀로 승부수를 걸어야 한다는 걸 알 것 같은데요?ㅎㅎ

사실 한국 순문학(신경숙 등)을 향한 반감의 역작용에 따른 반사이익을 본 면도 없지 않은 것 같아요.
그게 아니어도, 장강명은 장르소설로 나아가거나 말씀드린 대로 본격르뽀소설을 쓰거나 할 것 같아요.
이쪽- 이쪽?-으로 발을 담그는 순간 평범해지리라는 걸 모르지 않을 테니까요.^^

에이바 2016-01-08 11:29   좋아요 0 | URL
저도 이런 스타일이 최선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두 작품만 봤지만요. 아무래도 시각 자체가 좀 냉정하달까, 분석은 좋은데 깊이는 보이지 않고 반대로 낭만이나 유미주의 취향은 아닌 것 같고... 그래도 호모 도미난스인가 리뷰에서 SF쪽은 괜찮을 것 같다고 모님께서 그러시더라고요. 근데 좀비물 그건 별로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