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 전설의 고향이라는 드라마가 하는 시간이면 무서워서 이불을 덮어쓰고서도 뭔가 궁금하여힐끔힐끔 보게되던 귀신이야기의 주인공은 대부분 처녀귀신이었다. 저마다 다 다른 사연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나타나는 모습은 언제나 같아 하얀 소복을 입고, 머리를 늘어뜨린채 피를 흘리며 처녀귀신이 나타나는 장면에선 항상 이불을 꽁꽁 싸 매었던 기억이 여전하다. 각 나라마다 귀신이야기가 존재하고, 대표적인 귀신들이 존재한다는 걸 알았을 때 왜 우리나라에선 하필 ‘처녀귀신’이 그런 이야기들의 대표가 되었을까 의문을 가진 적이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질문, '처녀귀신'이라는 공포의 표상은 언제부터 형성되었으며 사람들은 왜 그들을 무서워하면서도 자꾸만 불러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일까? 하는 질문에 대해 답변이다.

귀신은 당대 사회의 소외된 인물, 사회적 약자이고, 한국 귀신의 전형이 처녀귀신이라는 것은 ‘처녀’야 말로 한국 사회의 약자, 억압받는 존재였음을 의미한다. 사회적 약자로서 제때에 표현되지 못한 감정, 발설되지 못한 내면은 귀신이라는 충격적 존재로 나타나고 이러한 귀신이야기가 공포를 주게 되는 것은 이 이야기의 세계가 완전한 허구가 아니라 현실의 모방으로 그려졌으며 현실을 모방한 귀신이야기는 결국 이러한 이야기가 사실상 저승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의 이야기며 나와 상관없는 귀신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 나 자신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처녀귀신 이야기를 만들고  즐겨온 전통은 그들에 관한 사회적 책임과 죄의식이 공통의 문화적 과제로 사유되어왔음을 뜻한다.
저자는 말한다. [사회의 모순이 엄연히 존재하는 한, 귀신 이야기는 불멸의 공포 장르, 비극의 파토스로 살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귀신 이야기가 끝나지 않은 한,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준열한 비판 정신 또한 살아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 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우리 사회의 약자, 소외된 자를 불러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을까? 또 그 이야기를 통해서 현실에 영향을 주고자 하고 있는가? 책에서 귀신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사회가 소외시키고 배제시킨 대상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발설하는 증표가 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의 귀신이야기를 생산해내지 못하는 현실은 그러한 고민 자체가 없어져버린 서글픈 사회의 자화상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