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지만 좋든 싫든 우리 인간도 동물이다. 이쯤 되면 나와 고양이 중 누가 더 여유로운 처지인지 궁금해진다. 다른 새가 날아오길 기다리느라 창밖을 바라보는우리 집 고양이일까, 아니면 ‘우리가 모두 어차피 죽는다면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뭐 그리 중요하겠는가‘라는 상념에 잠겨 창밖을 바라보는 나일까? 어쩌면 고양이와 나의 중간이 가장 좋은 위치일지도 모르겠다. 그저 이 아름다운 세상에 잠시 다녀가는 방문자로서 육체적·정신적·지적·문화적 경험을 통해 인생을 즐길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팩초프라
’교육(education)‘
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마음에 이미 존재하는 것을 키우고 ‘끄집어낸다‘
라는 의미의 라틴어인 ‘educare‘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교육은 모든 아이에게 내재하는 잠재적인 통찰력, 창의성, 놀라운 능력, 호기심 그리고 더 높은 의식의 상태를 이끌어내는 것이어야합니다. 마구잡이로 정보를 주입하기만 해서 사회에 순응하도록 몰아붙이는 것은 교육이 아닙니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켄로빈슨

교육의 역할은 무엇인가?
1.경제적목적
2.문화적목적(가치 전통 사고법 전달)
3.사회적목적(사회작동원리, 참여방법)
4.개인적영역(재능 삶의목적 관심사 발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 생각에 아름다움이라는 단어는 확실히 구시대의 유물이 된 것 같아요. 대신 저는 일관성, 조화, 균형이라는 말로 표현하는 게 낫다고 봅니다.
간혹 어떤 장소, 그림, 행위, 어린아이, 고양이 등 그게 무엇이든 아주 강렬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어요. 평생 다섯 번도 될까 말까 한 경험이지만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감정이 북받치죠. 그럴 때면 1초도 안 되는 찰나에 ‘이거야‘라는 느낌이 번뜩이며 지나갑니다. 아름다움 때문이 아니라면 무엇 때문일까요. 바로 당시의 빛, 온도, 각도, 시야 등 모든 수백 가지요소가 이룬 완벽한 균형 때문입니다. 혹은 조화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죠. 아름다움은 아닙니다./필립스탁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 있다는 것이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다면,
자신의 삶을 온전하고 충만하게살아내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은 결코 알 수 없어요.
누구나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것만을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것이 밝음이든 어두움이든, 고통이든 황홀함이든혹은 기쁨이든 슬픔이든 간에 상관없이 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더 깊은 차원의 삶을 이해하고경험하도록 이끌어주는 것은바로 우리 자신일 수밖에 없습니다."
-사드구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