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철학의 풍경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사진철학의 풍경들
진동선 글.사진 / 문예중앙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취미로 카메라를 들기 시작한지 이제 1년이 되었다. 처음엔 카메라를 들고 나서는 것조차 쑥스럽고 남 앞에서 카메라를 꺼내는 것도 어색하기만 했었는데 지금은 옷을 입거나 화장을 하는 것보다 먼저 카메라의 배터리 점검을 먼저 할 만큼 푹 빠져있다. 내가 그렇게 카메라에 빠져들게된 이유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카메라를 통해 표현하는 즐거움을 조금은 알게된 때문인 것 같다. 물론 사진을 잘 찍게 되었다거나 카메라 기법에 능통하게 되었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다만 눈으로 보는 것보다 마음으로 보는 좋은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이리라.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사진의 감각에 대해서 딜레마에 빠지기 시작했다. 무엇이 좋은 사진인지에 대해서 나 자신 스스로에게 되묻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 것이다.
"저........요. 바라보고 있습죠."
한 장의 사진에서 카메라는 무엇을 보며, 사진은 무엇을 보여주며, 사진가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사진가가 들어있지 않은 사진에서 사진가는 어떻게 감지되고 또 보여지는가? 그것은 경험대상에 대한 분명한 자기인식, 자기제시라는 저자의 말은 나의 마음을 쿵하고 때리고야 말았다.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는 본인에게 뭘하냐고 묻는 물음에 존 버거가 항상 말했다는 말. 바라보고 있다. 그래, 제대로 볼 줄 알아야 제대로 찍을 수 있는 것이다. 제대로 보고자하는 마음이 제대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애인이 거리에서 미소를 흘린다면 나를 위한 미소인가! 모든 남자들을 위한 미소인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질 들뢰즈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사진가는 그것을 구분할 수 있어야한다. 보이는 것 너머에 있는 진실을 발견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 존재의 참모습 혹은 존재의 진실에 다가서는 사람이 사진가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진가는 깨어있어야 하고 의식적인 사람이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카메라를 사용해도, 아무리 멋진 장소를 찍어도 사진의 수준은 그 사람의 의식 수준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순수가 더럽혀진, 왜곡된 행위"
인화 시 크롭핑, 혹은 인화 후 트리밍 작업에 대한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의 말이다. 물론 이 말이 명제는 아니다. 다만 사진을 찍을 당시의 중요성에 대한 극단적으로 표현일 뿐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사진을 찍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프레임을 정하는 일일 것이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여러 사람이 같이 촬영을 해도 똑같은 프레임이 나오지 않음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프레임은 한마디로 눈과 마음의 그릇이기때문에. 그 그릇은 저마다 크기와 깊이가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그릇에 따라 담기는 것의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프레임 워크가 다 다를 것이므로. 사진의 형상은 한순간 눈과 마음에 비친 인식의 소요이고 사진의 프레임이 철학의 틀이 되는 순간이라는 저자의 말은 아직도 내가 가야 할 길이 얼마나 먼 길인지 공부하고 사유해야할 세상이 얼마나 넓은지 뼈저리게 느끼게 하는 것이다.
카메라가 진실을 말한다는 것은 실패를 예정한 시도이다. 나는 카메라를 메고 더 이상 거리를 어슬렁거리지 않는다. 더 이상 눈에 보이는 것을 진실이라고 생각지도 않는다.... 진실은 언어로 말해진다. 사진은 연속된 언어다. - 듀안 마이클
사진은 잘 찍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멋진 사진과 좋은 사진의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 걸판지게 한 상 잘 먹고 제대로 체한 사람처럼 좋아하는 사진을 찍으면서도 늘 명치 끝이 답답함을 떨쳐낼 수 없었던 나였다. '사진을 잘한다'. 어쩌면 앞으로 더 가다보면 또다른 답을 찾을지도 모르겠지만 이 책을 통해 찾아낸 나의 소화제이다. 사진을 잘한다. 하루 세끼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사진을 잘 찍는다'는 것이라면 인간답게 살아가는 것이'사진을 잘한다'라는 의미이다. 물론 쉽지 않다. 어렵다. 하지만 내가 늘 찾아 헤매던 답이라는 것을 나는 안다. 나는 사진을 잘하고 싶다.
"올바른 이미지란 없고 사랑하는 이미지만 있다"
- 장 뤽 고다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