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17년 연속 예일대 최고의 명강의 ‘DEATH’가 책으로 나왔다. 하버드대 ‘정의’및 ‘행복’과 함께 ‘아이비리그 3대 명강’으로 불리는 강의다. 그동안 우리가 생각해왔던 심리적 믿음과 종교적 해석을 완전히 배제하고 오직 논리와 이성으로 죽음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고찰한다.

 

예전에 Snow라는 곳에서 이 강의를 본 적이 있다. 웰다잉이 화두인 요즘에 이 책을 읽어보고 싶다. 웰다잉이 곧 웰빙 아닐까? 가깝고도 먼 죽음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자. 

 

 

 

 

 

 

그는 이 책에서 미국 역대 대통령들이 내놓은 잘못된 정책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장에서 미군들이 보여준 비극적이고 천박한 행동들, 부자들과 권력자들의 이익을 위해 희생당하는 노동자의 역경 등을 낱낱이 파헤치고 있다. 하워드 진의 역사적 투명성과 흔들림 없는 긍정주의 그리고 첨예한 질문들은 이번 책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요즘 대선을 앞 둔 시점, 이 책이 읽고 싶어졌다. 대통령들은 지금까지 어떤 거짓말을 해왔고, 앞으로 어떤 거짓말을 할 것인가?
과연 하워드진의 말처럼 역사는 아래로 부터 이뤄질 것인가?

 

 

 

 

 

세계적인 사회학자 부부가 밝히는 글로벌 시대의 성, 사랑, 가족. ‘지구화’는 우리 삶에 무엇을 가져왔는가? 그것은 ‘금융 위기’, ‘언어의 위기’를 넘어 ‘가족의 위기’와 ‘개인의 위기’로 확산, 심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가족은 힐링과 위안의 최후의 안식처가 아니라 ‘사랑’을 둘러싼 온갖 카오스의 진앙이 되고 있다.

 

가족은 힐링과 위안의 안식처인가? 아니면 카오스의 진앙인가?

21세기 우리의 사랑의 아름다움은 존재하는 것일까?

율리히 백의 위험사회를 읽고나서 더욱 이 책에 관심이 간다.

 

 

 

대규모의 중앙 집중적 시스템은 ‘개발’이란 미명 하에 지구를 병들게 하고, 부족한 자원을 더 차지하기 위해 약소국을 착취하며, 인간 본연의 생활양식을 깨뜨려 문화와 가치관을 파괴시켜왔다. 경제 논리만을 앞세워 각 국가의 국민이 누려야 할 최소한의 삶의 질마저 외면하도록 만들었다. 이런 시스템으로는 우리가 사는 세계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양적인 성장은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행복한가? 행복하지 않은가?

행복하지 않다면 왜 행복하지 않은가? 어떻게 행복해 질 수 있을까?

<오래된 미래>의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신작.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들을 파헤친다. 우리의 미래, 우리의 공동체, 그리고 진정한 삶의 목적을 생각해보는 계기를 가져보고 싶다.

 

자화상은 자아를 드러내야 하는 작가에 대한 요구이면서 풍부한 자아 인식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자화상은 예술에서 가장 뿌리 깊으면서도 가장 앞선 회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주제가 되는 인물의 겉과 속을 오가며 그 두 개의 자아를 불가분의 영속적인 존재로 재창조한다. 즉, 자화상은 한 편의 예술작품이면서 그것을 빚은 창조자의 이미지이며 그가 자신에 대해 느끼고 상상하고 믿었던 것이 무엇이며 그 가운데 무엇을 선택했는가에 대한 진실의 요체이다.

 

그렇다. 자화상은 나 스스로가 나를 보는 방법이다. 화가들의 자화상은 어떠할까? 어떤 식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 했을까? 그들의 자화상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