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12월 예술/대중문화 분야는 미술 관련 책들이 유독 돋보인다. 그 동안 한국 유물, 영화, 건축, 사진을 살펴봤으니, 이제는 미술 분야를 접할 때가 된 것 같다. 예술/대중문화 분야에서 가장 좋은 점은 이렇게 다양한 분야를 골고루 접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번 달에도 두근두근한 마음을 품고 흥미로운 책들을 골라 보았다. 

  

 <현대미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다> 

고전 미술에서부터 모더니즘,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2차 모더니즘까지 현대 미술사를 아우르고 있다. 유명한 미술 작품들과 그것의 시대적 의미, 철학적인 차원에서 해석되는 상징적인 의미들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큰 책이라 할 수 있다. 현대 미술의 용어와도 친숙해질 수 있는 '꽉' 찬 책이다.

  

 

 <어느 시각탐닉꾼의 구경> 

표지부터 눈을 확 사로잡았다. 마네킹 같은데, 저 어설픈 토끼 귀는 뭘까? 그러다 제목을 보니, '시각탐닉꾼'이란 단어가 낯설면서도 뭔가 쌉싸레한 뒷맛을 남겼다. '탐닉'은 열정적으로 좋아하면서도 증오하는 듯한, '애증'의 다른 이었기 때문이다. 목차의 내용들도 현대 미술의 뜨거운 감자로서 대척점에 놓인 화두(실재와 재현, 가독과 비가독, 거시와 미시)를 다루고 있었다. 동전의 양면이나 야누스처럼 선악을 논할 수 없는 것들이 토끼의 귀처럼 쫑긋 솟아 있다. 그 토끼 귀를 한번에 잡을 수 있는 기회다!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표지의 스머프를 보며 '얜 누구야?' 생각했다. 목차를 훑어보는데 빙그레 웃음이 나왔다. 스머프 마을에도 우울한 날이 있다니. 이게 무슨 말이야? 그런데 다시 생각해 보니 그럴만도 했다. 몸 전체가 파란 스머프, 파랑색 자체가 우울과 몽상을 상징하니, 그렇게 생각할만도 하다. 다른 목차 내용도 훑어보면 대중문화의 이면을 엿볼 수 있는 재밌는 책일 것 같다. 

  

  


  

 <저널리스트가 쓴 문화예술론- 문화의 풍경> 

다방면에 걸친 한국 문화의 풍경들을 여러 가지로 조망하고 있다. 우리는 문화적인 향수가 어린 추억의 장소와 물건들을 많이 잃어버리고 달려왔다. 다음 세대에서는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고 영원히 사라질 것들이다. 새것이 좋을 때도 있지만 때가 탈수록, 세월을 먹을수록, 더욱 진중해지고 매력을 높여가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그러한 추억들을 되새김질해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 유산이다. 

 

 


  

 <영화는 끝나도 음악은 남아있다> 

아~ 흑백 영화는 다채로운 색상이 없어서 심심할 수 있지만 묵혀 둘수록 질리지 않는 깊은 울림을 전해준다. 그 영화를 흘러가는 배경 음악은 정말로 끝없이 끝없이 출렁거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향 2010-12-24 2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2월 신간서평단 책으로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와 <영화는 끝나도 음악은 남아있다>가 선정되었다. 처음으로 추천한 책 중에서 2권이 선정되다니, 뿌듯하면서 즐겁다^^ 이번에도 무척 재미나게 책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