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애서가라면 한 번은 해봤을 고민
일단 이 책은 독서가와 애서가를 어느 정도 구분하며 이야기 하고 있다. 예를들어 전자책이 많은 사람은 독서가이지만 애서가나 장서가는 아니라는 식이다. 그리고 목조 건축물이 많은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 철근 콘크리트가 많아 ‘책 때문에 집이 무너진다’거나 ‘책 때문에 바닥이 내려앉았다.’ 같은 이야기는 경험하기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일단 애서가는 독서가의 부분집합이라 할 수 있으니 비록 저자처럼 1만권 이상의 책이 없어도, 창고를 가득 채운 책이 없어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서고가 없는 나도 책장이 가득 차는 걸 보면서, 혹은 이사철에 책 상자가 쌓이는 걸 보면서 걱정하는 사람으로서 어느 정도 공감하며 읽었다.)
이후에 여러(일본의) 장서가들이 나오며 책 보관에 대한 교훈을 하나씩 알려준다. 적당한 장서량은 500권이라는 이야기 등 참고할 이야기도 나오지만... 확실히 몰입도는 도금 떨어진다.
그러나 여러 번 읽을 책을 한권이라도 더 가진 사람이 장서가라는 식의 이야기 등은 언제나 유용하다. 작가 ‘심산’도 “두 번 읽을 가치가 없는 책은 내다 버려도 그만이다." 고 하지 않았는가?
서고 정리를 위해 책을 파는 장면은 알라딘 등을 이용해 책을 팔고 있는 우리 눈에는 그다지 새롭지 않다. 물론 아파트 등에서 동내 사람들과 중고책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건 배울 수 있을 것 같다.
요약하면 이 책을 통해 여러 장서가들을 만날 수 있었던 건 기쁘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던 많은 작가들을 알게 되었다. (해당 작가에 관심이 생겨 새롭게 구입한 책들도 있다.) 다만 깊이 빠져들기에는 약간의 거리감이 있어 아쉬웠다. 하지만 나 같은 사람이, 아니, 나보다 더한 사람이 많이 있다는 사실에 안도감이 생긴다.
이 책은 책장을 정리해 정말 읽을 가치가 있는 책들만 남겨야 오히려 서고가 살아난다고 이야기 하지만 글쎄, 일단 읽고 나서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야겠다.
덧붙임: 여러 이유로 요즘은 도서 구입 규모를 줄이고 더 많은 독서를 위해 새 책을 사기 전,
1) 2권 팔거나
2) 4권 읽거나
3) 서평을 3권 쓰거나
4) 2권 기증하면
한 권 사도 된다
고 나 자신과 약속했는데, 그래서 확실히 작년보다 덜 사긴 했는데, 지금, 올해의 마지막 날인 지금, 깔끔하게 –30권이다
(ㅠㅠ)
열 번째 교훈
진정한 독서가는 서너 번 다시 읽는 책을 한 권이라도 많이 가진 사람이다. (161쪽)
네 번째 교훈
책장은 서재를 타락시킨다. 필요한 책은 곧바로 손에 닿는 곳에 있는 게 이상적. (6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