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황홀]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칼과 황홀 - 성석제의 음식 이야기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칼은 다른 생명을 취하고 조리하는 도구이다. 농부의 낫, 사냥꾼의 화살, 숙수의 칼이 무정한 것인가. 아니다. 어느 성현도 먹어야 산다는 법 앞에서 예외가 될 수 없으며 농부와 사냥꾼과 숙수를 비난할 수 없다. 매일 먹고 힘을 얻으며, 마셔서 기갈을 풀고 도취경에 든다. 생명이 우주의 질서에 순응하는 것이니 응당 황홀하다. 칼과 황홀 사이에 음식과 인간, 삶이 있다."

 

이 책의 부제가 '성석제의 음식 이야기'라고 해서 그가 지극히 음식에 충실한, 오롯한 음식 그 자체를 이야기할 거라 기대한다면 애초에 이 책을 집어들지 않는 게 낫다. 하지만 바로 그런 점이 여느 음식 관련 글이나 칼럼과 이 책을 차별화하는 요소이므로, 음식 그 이상의 이야기를 원한다면 상당한 만족감으로 이 책을 읽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소설에서 보여지는 그의 유머러스한 면을 이 책에서는 크게 기대하기 힘들다. "두 사람 다 불고기는 그럭저럭 먹었지만 냉면 앞에서는 쩔쩔맸다. 감사 표시로 내가 다 먹어드렸다" 식의 유머라든가 자신을 포장없이 까발리며 인기 작가의 '허당' 같은 모습을 내보이는 귀여운 모습에서 간간히 웃음이 터지기는 하지만, 소설의 그것처럼 무릎을 칠 만한 정도는 못 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단순히 음식을 그의 '개인적인' 추억에만 국한시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공동으로 살아가는 삶, 시대의 문화를 담고 있다는 데서 이 책은 반짝 빛을 발한다. 그보다 나이 어린 사람들에게는 미처 겪지 못한 시절의 음식 문화와 서민들의 삶의 문화, 어느 지방의 풍습과 서울 뒷골목의 그림을 펼쳐 보이고, 그와 동년배이거나 더 어른인 사람들에게는 아련한 추억과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힘이 <칼과 황홀>에는 있는 것이다. 또, <식객>만큼은 아니지만 특정 음식에 대한 상식을 쌓을 수 있다는 힘도.  

 

개인적으로는 성석제의 고향과 내 고향이 30분 거리밖에 안 되는 곳에 위치해 있어 책에 나오는 사투리라든가(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지역 분위기가 친근하게 느껴져 좋았고, 그가 이렇게 먹을 것에 관심이 많은 사람인 줄 새로이 알게 돼서 좋았다. 또 하나, 아빠가 매번 청국장을 '담북장'이라 부르길래 도대체 그건 청국장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는데, 성석제 역시 '담북장'을 언급해 검색을 해봤더랬다. 청국장이나 담북장이나 그게 그건 줄 처음 알았다. 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고, 세계 최고의 음식이라며 극찬해 마지않는 음식인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