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라는 주사위는 던져졌다.
시간을 되돌릴 수도
바닥에 떨어진 주사위를
다시 잡을 수도 없다.
부질없는 고민을 쉼 없이 이어간들
돌이킬 수 없는 지난날에 붙잡혀 살아본들
달라지지는 않으니까.
"나는 그저 순간을 살아갈 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토록 공부가 재미있어지는 순간 (10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 공부에 지친 청소년들을 위한 힐링 에세이
박성혁 지음 / 다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한번으론 부족하네요.
두고 두고 볼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인생을 단 한 번 살아가니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을 믿어야만 하니까. 하지만 자신을 믿어
원하는 삶을 살았다고 해서 그게 옳은 인생이라는 뜻은
아니오. 그중에서 형편없이 잘못된 인생도 나오는데, 그
게 바로 내 인생이었소. 평생 나는 의미 있는 삶을 추구
하며 살았소. 나는 고립되는 한이 있어도 삶의 의미를
원했소. 친구도, 애인도 모두 사라지고, 살던 고향도 떠
난 지 오래였지만, 그럼에도 나는 내가 옳은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했소. 하지만 옳다고 해도 그건 결국 죽은
삶이라는 걸 나중에야 알게 됐지. 서로 연결되지 않는
길을 죽은 길이라고 말할 수 있듯이, 제아무리 숭고하다
한들 고립돼 있다면 그 인생은 실패한 인생이라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사람이 있고, 그 사람을 둘러싼 기억들은 시간이 흐르면
서 하나둘 죽어간다. 우리는 그걸 ‘학살‘이라고 불렀다.

완전한 망각이란, 사랑 안에서, 가장 순수한 형태의 보존.

우리가 영원히 기억해야만 할 것

네 것.

길들은 지금 내 눈앞에 있다. 길들은 만나고 헤어지고 가까워지고 멀어진다. 그게 길들이 확장하는 방식이다. 길들은 도서관에 꽂힌 책들과 같다. 서로 참조하고 서로 연결되면서 이 세계의 지평을 한없이 넓힌다. 길들 위에서 나는 무엇이든 배우고자 했다. 길들이 책들과 같다면, 그 길을 따라가면 언제나 미지의 세계를 만나리라. 처음에는 다른 세계를 향한 열망이 훨씬 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나는 길들 자체에 매혹됐다. 그저 읽고 또 읽는 일만이 중요할 뿐인 독서가처럼, 거기서 무엇도 나오지 않는다고 해도 걷고 또 걷는 일만이 내겐 중요했다. 그리하여 여기는 어디일까? 나는 왜 여기에 있을까? 나는 누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