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작년에 영화로도 개봉했고 한번 참석했던 독서모임에서도 선정되었던 책이라 익히 알고 있었다. 이 책이 선정 됐을 때 참석하진 않았지만 반전이 있다는 것과 영화가 책보다 못하다는 것을 후기로 들어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때 당시 이 책을 읽지 않은 이유는 독서모임 내 후기를 보니 평점도 그저그랬고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사람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영화 포스터를 보고 단순 멜로이야기인 줄 알고 흥미가 생기지 않았다. 지금와서 갑자기 읽게 된 이유는 '서민독서'라는 책에서 이책을 소개하는 부분을 읽고 갑자기 흥미가 확 생겨서이다. 소개된 내용 중 '책을 다 읽자마자 다시 처음부터 읽게된다. 고로 150p가 아닌 300p 분량이라 할수 있다'라는 부분을 읽고 많은 복선을 음미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아 바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렸다. (소개된 내용은 서민독서의 작가가 한 말이 아니라 줄리언 반스간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읽어보니 영화 포스터를 보고 멜로이야기겠구나 했던 생각과는 달리 심리스릴러 장르에 가까웠다. 토니웹스터라는 주인공이 생각하는 자신의 어릴적 기억과 40년 뒤 노인이 되서 대학시절 1년 남짓 사겼던 여자친구 베로니카의 엄마 유언장을 받고 그것을 계기로 40년만에 베로니카와 이메일을 주고 받으며 자신의 기억이 그의 입장에서 얼마나 윤색되었는지 느끼면서 회한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이책을 다 읽은 뒤 다시 한번 읽게된다는 소개를 읽고 책을 읽게된 만큼 나도 한번 읽고 다시 한번 읽었다. 솔직히 말하면 다시 한번 읽었을 때 처음 읽을 때 보다 더 재밌게 읽진 않았다. 내 생각에는 두번 읽게된다는 작가의 말을 잘못 파악하고 다시 읽어서 그런 것 같다. 이 글을 쓰면서 생각해보니 아마도 1부에 나오는 역사시간의 대화와 롭슨의 자살 등 지나치기 쉬운 이야기들이 이 소설의 전반적인 스토리와 매치가 되서 그것을 다시 정리해보는 재미로 2번 읽게된다고 한 것 같다. 하지만 나는 결말을 알고 봐야 보이는 반전의 단서들이 많아 두 번 읽으면 그 복선을 찾는 재미가 있는 추리소설로 생각하고 다시 읽었었기 때문에 기대와는 달리 두 번째 읽을 때는 기대만큼 큰 재미는 없었다.

 

 언급했듯이 1부에 나오는 역사시간 이야기는 이 소설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에이드리언이 말한 '역사는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다' 라는 말은 토니의 부정확한 기억과 유언장, 일기장 일부, 자신이 어렸을 때 쓴 에이드리언에게 보낸 회신 편지 등의 불충분한 문서로 소설이 진행되는 것을 보면 이 소설을 관통하는 문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토니의 시점에서 부정확한 기억에 따라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다 읽고 나서도 혼란이 생긴다. 토니는 1달동안 베로니카의 집에서 지내는 동안 베로니카의 오빠인 잭의 몇몇 행동으로 그가 자신을 무시한다고 지레짐작한다. 그렇게 40년동안이나 그와 함께한 주말을 악몽으로 생각하다가 40년 뒤 그가 베로니카의 이메일 주소를 알려줘서 그에 대한 생각이 변한다. 이처럼 토니의 몇몇기억, 게다가 자신의 편의에 맞춘 윤색된 기억을 가지고 소설이 진행되기 때문에 끝에가서도 많은 의문이 남는다. 사라 포드는 어떻게 에이드리언의 아이를 가졌는가? 여자친구의 어머니를 임신시킨 에이드리언은 토니가 생각하는 것처럼 정말 철학적으로 뛰어난 학생이 맞는가? 사라포드는 왜 토니에게 일기장과 작은 금액의 유산을 남겼는가 등이 그렇다. 나는 다시 한번 읽으면 책에서 명확히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 할 수 있을 줄 알았으나 그렇지 않았다. 하지만 읽어보니 이러한 것이 책에서 의도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 이러한 부분은 책에서 명확히 밝히는 것보다 독자의 상상력으로 채우는 것이 소설의 묘미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독서를 꾸준하게 하기 시작한 것은 2년 전 요맘 대 독서모임에 참석하고부터다. 27살부터이니 이 책을 쓴 작가보다 3년 빠르게 독서에 빠져들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시작은 빨랐으나 독서의 양과 질은 이 책의 작가님이 훨씬 낫다는 건 이책을 읽고 알 수 있다.

 

 이 책은 도서관에서 우연히 빌려 완독하게된 책이다. 내가 하필 왜 이 책을 골랐을까? 사실 끝까지 고른 책이 아니기 때문에 이유는 이거다라고 분명히 말할 수가 없다. 도서관에서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라는 책을 읽다 지루해져서 일어나 몸을 풀다가 뒤 책장에 꽂혀있던 이 책을 꺼냈다. 아마도 표지 색이 파래서 눈에 띄고 서민독서라는 책 제목이 잠깐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고르게 된 것 같다. 물론 책 제목의 '서민'은 내가 생각했던 그 단어가 아니라 작가 이름이었지만 내용은 예상대로 가볍게 읽기 좋았다. 앞에 말했듯이 사실 잠깐 쉬는 동안 조금만 읽으려고 했다. 그런데 들어가는 글에 나온 에피소드가 꽤나 흥미로워 계속 읽어나가게 되었다. '기사단장 죽이기'에 젊은 여인이 주인공에게 구원을 청한 이유가 책을 읽고 있었기 때문인데 여인이 식당에 다른 사람을 두고 주인공을 택한 건 공공장소에서 책을 읽고 있다는 얘기는 조폭이나 범죄자가 아닐 확률이 높다라는 것이다. 또, 작각의 아내가 작가 자신을 좋아하게된 이유 중 하나가 첫만남에 기다리는 모습이 독서하는 모습이었다는 것이다. 나 또한 사람들이 독서를 하는 이유가 자신을 고양시킨다든지, 위로를 받는다던지, 즐거움을 준다든지 등등 많지만 남들에게 긍정적인 모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 들어가는 글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독서관련 책을 읽으면 언제나 그렇듯이 몇 권의 책을 영업당했다. 개념의료, 서양미술사 면도날 등 구매하진 않았지만 위시리스트에 리스트업했다. 특히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서민독서를 읽는 도중에 너무 읽고 싶어져 도서관에서 빌려 읽게 되었다. 이 책에 소개된 내용이 '에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원본 150p 비교적 짧은 소설이지만 한 번 읽는 사람이 다시 한 번 더 읽게 되기 때문에 300p나 다름없다는 것인데 그 말대로 나도 한 번 다 읽었고 오늘 다시 한번 더 읽기 시작할 것이다.

 사실 읽으면서 다른 독서관련 책과는 달리 이 책의 출판사가 가끔 언급되어(물론 다른 책들도 언급됐지만 내가 못본걸 수도 있고 이 책만 내가 유독 신경쓴거일수도 있다) 여기 나온 을유문화사에서 출판한 책은 정말 언급하고 싶어서 언급하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작가님이 기생충학을 가르치는 분이셔서 그런지 개념의료, 진실 그것을 믿었다 등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책들이 많이 소개되어 좋았다. 이러한 책들은 주변이나 내가 속한 그룹에서는 소개해 줄만한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나도 짧지만 2년여동안 독서를 해보면서 이에 대해 고민을 해봤어서 공감이 되는 책이었다. 고전을 왜 읽어야 되는지, 빌게이츠는 왜 호밀밭의 파수꾼을 인생의 책이라고 하는지 등 나도 생각해봤기 때문에 읽으면서 나와 같은 생각을 다 하는구나라는 생각과 기생충학을 가르칠만큼 똑똑하신 분도 데미안을 읽으면서 이해안되는 부분이 많다고 하신 걸 보고 나만 어렵게 느낀 책이 아니구나라는 위로가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좋은 것은 알라딘 블로그에 이렇게 독후감을 쓰게 된 것이다. 사실 전부터 블로그 같은 곳에 독후감을 써야겠다고 생각은 했으나 실천을 안해왔다. 또 글쓰기는 타이핑해서 쓰는 것보다는 펜으로 직접쓰는 것이 뭔가 더 의미있다고 생각해서 생각은 했으나 굳이 실천을 안 해왔던 것 같다. 그런데 오늘 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써보니 글을 쓰면서 수정하기도 편하고 빨리 쓸수 있고 편해서 더 효율적인 면도 있는 것 같다.그래도 글쓰기는 펜으로 써야될 것 같은 그런 의무감도 있어 앞으로는 공책에도 쓰고 블로그에도 글을 써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