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 아마라(Roy Arrara)는 ˝우리는 기술의 효과를 단기적으로는 과대평가하고 장기적으로는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아마라의 법칙‘이라고도 부릅니다˝우리는 변화에 대한 논의를 거듭하고 좋은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로이 아마라(Roy Arrara)는 "우리는 기술의 효과를 단기적으로는 과대평가하고 장기적으로는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아마라의 법칙‘이라고도 부릅니다"우리는 변화에 대한 논의를 거듭하고 좋은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리스토텔레스는 2,000여 년 전 출간한 기념비적인 저서 《수사학 Rhetoric》을 통해 화자가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선3가지 방법으로 호소해야 한다고 갈파하였다. 그리고 설득의 3가지기술을 에토스 Echos, 파토스 pathos, 로고스 Logos 라고 명명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2,000여 년 전 출간한 기념비적인 저서 《수사학 Rhetoric》을 통해 화자가 청중을 설득하기 위해선3가지 방법으로 호소해야 한다고 갈파하였다. 그리고 설득의 3가지기술을 에토스 Echos, 파토스 pathos, 로고스 Logos 라고 명명했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중이 누구인지를 알아내라. 시작부터 청중의 관심을 끌어라. 그리고 끝까지 청중과 교감을 이어가라. 이 3가지 간단한 과정을 통해 청중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하는자의 일굴이 빛나는 것은 사랑이 감히 신의 영역인 무한과 불멸에 기대고 그 불가능성을 욕망하는 일이기에 그렇다. 이 얼굴의 빛은 타자의 현전을 선취한 혼적이다. 이 빛은 사랑하는 자가 내 것이 되었다는 안도감과 영웅적 성취감이 만들어낸다. 사랑이 사라지면 이 빛도 꺼진다.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은 진부하지만 사랑한다는 선언속에서 그 생명을 얻는다.

‘사랑한다‘라는 말은 그저 ‘말소리가 아니라 의미의 범주화라는 맥락에서 ‘너는 내게 의미가 있는존재‘ 라거나 ‘네가 없다면 내가 사는 것은 의미가 없다라는 뜻이다. 

사랑에 빠져서 ‘사랑한다고 말하는 게 아니라 사랑한다‘고 말함으로써 사랑에 빠져든다. 사랑은 기쁨과 불안을 동반한다. 물론 그 감정이 곧 사랑은 아니다. 사랑은 사랑환 수 없음의 불가피하고 당위적인 부정이다.

4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군가 생을 포기하게 만든 환멸에 우리도 무심코 보탠바가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11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