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정승구 지음 / 아카넷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을 떠남으로서 우리는 그곳의 경치도 느끼고 그곳의 아름다움도 느끼게 된다..여행 속에서 인연을 만들어 나가기도 한다... 여행을 통해서 나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느낄 수가 있다...책은 바로 1000만 인구 섬나라 쿠바의 여행 이야기가 담겨져 있으며 쿠바 여행을 통해 자신을 이해할 수가 있게된다..


우리에게 있어서 쿠바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혁명가 체게바라와 피델 카스트로이며 사회주의 국가 쿠바이다...그리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야구 결승에서 쿠바와의 마지막 경기였다..이처럼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않은 나라이지만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의 이야기의 배경이 쿠바라는 것을 책을 통해서 알 수가 있다..


혁명가 체게바라...체게바라가 있기전 쿠바는 미국의 통제 속에서 독재자 바티스타 정부가 있었다...바티스타 정부는 미국의 지지 속에서 부패와 쿠바 국민들을 착취하였으며 국민들이 굶어 죽거나 병들어 죽게 된다..체게바라와 피델카스트로는 300명의 혁명군을 바티스타 독재 정권을 바꾸었으며 국민들의 지지를 끌어내게 된다....정권이 바뀐 후 쿠바가 사회주의 국가로 전환한 것은 미국의 자본주의 안에 감추어진 착취들을 쿠바 국민들이 느꼈기 때문이었다..비록 체게바라는 죽었지만 피델 카스트로는 1959년부터 2008년까지 쿠바를 통치하였으며 쿠바 국민들에게 무상 교육과 무상의료,무상복지를 현실화하게 하여 주었다...


비록 쿠바 경제가 제조업이 없어 공산품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며 사탕수수 농장과 설탕 수출에 의존해야 하는 쿠바 경제이지만 그들에게 있어서 지금 대한민국이 누리는 생활에 대해서 그들은 크게 부러워하거나 아쉬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책을 통해서 알 수가 있었다...대중교통과 인터넷이 발달하지 않은 쿠바의 교통과 삶..그들은 1950년대 미국에서 들여온 자동차를 고치고 다듬으면서 살아가고 있으며 어디론가 급하게 가야 할 때는 히치하이킹을 주로 애용하게 된다..


야구...쿠바의국민 스포츠....쿠바의 야구가 140년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그리고 쿠바는 야구 뿐아니라 배구와 다양한 스포츠에서 강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으며 2008년 베이징에서 9회말 정대현의 마지막 모습이 스쳐 지나갔다...


행복이란 무엇일까...물질적으로 풍요롭다고 해서 행복은 아닌것 같다....국민들의 기본 생활을 정부가 보장해주며 국민들이 모두 건강한 나라 그것이 행복이아닐까...복지 포퓰리즘 이야기 하면서 병원을 없애거나 무상급식 취소를 하는 우리들의 자화상.....우리는 어쩌면 말로만 행복을 외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