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파과
구병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구병모의 -파과-

 


  하루하루 마모되어가는 여 킬러가 있다. 평생을 ‘현역’으로 살아온 그녀에게 늙음이란 곧 육체의 훼손이다. 그녀의 몸에 퍼진 자잘한 금과 녹은 이제 어떤 기름칠로도 지워지지 않는다. 크고 작은 부상이 늘고 실수를 연발한다. 닳고 깨어진 틈바구니마다 꾸역꾸역 밀려들어오는 회한 때문에 그녀는 자꾸 멈춰 선다. 그녀는 고장 나고 있는 것이다. ‘그 고장을 고칠 수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그녀는 뚜렷이 직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녀의 고장을 촉발하는 젊은 의사가 하나, 그녀의 변화를 용납할 수 없는 젊은 킬러가 하나 있다. 둘 다 아들 뻘 남자. 그녀에게는 자신이 젊은 의사에게 품은 감정도 젊은 킬러가 자신에게 품은 감정도 모두 영문 모를 것이다. 묵묵히 헤아리는 것만으로는 도저히 다 알 수 없는 않는 감정. 문드러진 과일이 터져 흐르듯 늙은 육신에서 새어나오는 그 무언가. <파과>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즐거움을 주었다. 소설은 예상했던 것보다 성실했고 묵묵했다. 허세만 부리는 소설들은 꼭 다 읽어도 대체 내가 뭘 씹었나 감이 안 오곤 하는데 이 소설은 분명 질겅하니 씹히는 게 있었다. 일단 그것만으로 이 글을 읽은 시간이 아깝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펼치기 전 내가 ‘별 기대를 하지 않았었다는 것’, 그리고 나름 맛있게 읽었는데도 '뒤끝맛이 아주 좋지만은 않다는 것'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딱 잘라 말해 나는 구병모 작가의 문장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여기저기서 언뜻 작가의 문장에 대한 칭찬을 보곤 했는데 내게는 이 문장이 도저히 미문(내지 장점)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다른 이들에게는 개성적인 문장일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게는 독서를 방해하는 요소다.

 

  그런데 이 소설에는 내가 좋아하지 않는 특성을 보여주는 문장이 첫 장부터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작가가 만연체 덩어리를 툭툭 던질 때마다 흐름이 끊긴다. 이 문장 안에 정말 이 단어들이 다 필요한 걸까? 이런 문장이 나올 때마다 잔돌투성이 밥을 주걱째로 퍼먹는 기분이었다. 먹는 내내 내가 알아서 잔돌을 발라 뱉으며 먹어야 하니까.


 게다가 여주인공이 첫 등장하는 지하철 장면은 극히 지루하다. 지하철의 일상적인 모습도 모습이지만, 거기서 주인공을 도드라지게 하는 작가의 방식 자체가 평범하달까. 여주인공이 뭔가 독특한 사람이라는 건 충분히 알았으니 제발 다음으로 넘어가줬으면 싶어지는 구간이었다. 이후 여주인공 캐릭터가 의외로 실체감이 있기에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첫 장에서 받은 나쁜 인상을 해소하지 못했을 것이다.

 

 

   다행히 장을 넘길수록 읽기는 편해졌다. 주인공의  ‘방역 활동’이 구체적으로 묘사되는 부분부터는 흥미가 생겼다. 이 소설 특유의 설정 교차가 살아나기 시작하는 것도 거기서부터다. 이 소설의 주인공에게는 독특한 설정이 두 가지 마련되어 있다. 하나는 ‘흔해빠진’ 노파이자 킬러라는 직업 설정, 또 하나는 흔해빠진 ‘노파’이면서 젊은 남성을 사랑하고, 또 사랑(?)받는 여자라는 설정이다. 여주인공은 두 설정이 만든 틈바구니에 끼인 채 멈춰 서 있다. 그녀의 시간은 ‘류가 죽은 시점’에서 정지해 버렸다. 앞으로 얼마를 더 살게 된들 달라지는 것은 없을 것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이 과연 입체감있는, 혹은 현실적인 노파로 보일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멈춰선 자의 심리' 표현은 인정할 만 하다.

 

  글에 있어 문장이란 가장 기본적인 요소고, 그게 마음에 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읽을 만 했다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마냥 호평으로 이 감상을 끝맺을 수 없다.
  문장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글을 평범하게 만드는 요소들이 자꾸 눈에 밟힌다. 그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노년의 시각으로 본 세상 풍경’이다. 이 소설 주인공이 세상을 해석하는 시각은 너무나 평이하다. 굳이 그녀의 독특한 이력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은 할 필요조차 없다. 아무리 평범한 사람이라도 그 사람만의 독특한 생각은 있게 마련이니까. 그런데 이 주인공에게서는 그런 게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젊은이들과 노인들이 소소한 갈등을 빚는 에피소드들은 거의 성격이 비슷비슷하다. 이기적인 젊은이, 염치없는 중년, 지치고 구질구질한 노인. 주인공은 킬러로 살아온 세월이 무색하게도 세상을 보는 눈이 평범한 사람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 게다가 문제는 그 시선이 일반적인 노인의 것조차 아니라는 것이다. 그보다는 다수익명의 인터넷 여론과 흡사하달까? 노인과 젊은이가 부딪는 걸 목격할 때마다 포털사이트 덧글란에서 흔히 볼 수 있을 듯한 반응이 죽 나열되는데, 이때마다 글 텐션이 훅 떨어진다. 결국은 이 할머니도 그냥 늙어가는 게 억울한 많은 노인들 중 하나인건가, 싶어 실망감도 들었다. 

 

  이런 두어 가지 문제 때문에 나는 끝내 이 소설이 아쉬웠다. 간만에 좀 색다른 인물 관계가 부각된 소설이 나왔는데도 말이다. 자신도 형체를 뚜렷이 말할 수 없는 집착이 동인이 되어 하루하루 살아가는 주인공이라니 좋지 않은가. 제 늙은 가슴 속에 아직 말랑하게 흐르는 연심을 직시한다는 것도 흥미롭고. ‘늙음’을 담담하게 바라보고자 한 노력은 일단 끝까지 일관되었으니 그것만으로 값어치가 있다. 이렇게 마음에 드는 요소를 질겅질겅 씹다가도 자꾸 잔돌이 탁탁 걸리니. 아. 역시 내게는 맛있되 아쉬운 글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