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적 연구 방법론인 케이스 스터디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각 챕터의 주제

 

 1. 단 한개의 사례라도 충분한 시사점 도출 가능 : 이상값, 블랙 스완을 주목

 2. 면밀한 조사 설계로 가설 검증

 3. 현장에 뛰어들어야 예상치 못한 '발견' 가능

 4. 추가 분석 통한 가설의 정밀도 제고

 5. 조사 대상 추적으로 인과 매커니즘 규명

 

케이스 유형

 

 

 

흥미로운 케이스 분석 사례 : "헐리우드 피치에서 창의성(Creativity) 평가 기준"

 

 

창의성의 이원적 평가 모델 : 인물 자체 및 인물과의 관계

 

 

 

인물 평가를 위한 원형

 

인물 평가시 추가 포인트

 

"첫인상이 중요합니다. 만약 작가가 자신의 아이디어에 자신이 없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의욕적으로 밀어붙이거나

형식에만 신경쓰고 알맹이가 부실하면 내용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합니다.

첫 단추를 잘못 꿰면 피치가 후반에 이르러도 만회하기 어렵습니다."

 

"사소한 행동으로도 피처는 창의적이지 않다고 평가 받는다"

 

"부적합 판정을 내리는 과정은 적합 판정을 내릴 때보다 훨씬 간단하다.

창의성의 단서가 열 개가 넘는 반면 부정적인 단서는 네 개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관계 평가를 위한 원형

 

 

Assessing creativity in Hollywood pitch meetings 논문 링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5-07-28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글을 리뷰인가요????
전 오늘 늦게(?) 출근합니다. 힘들어서 기운이 빠진 듯~~~ㅠㅠ
이런 게 사는 거지요???ㅎㅎㅎㅎ

2015-07-28 00: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임스 설터의 마지막 소설 '올 댓 이즈' 연재 (마음산책)

http://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129798&memberNo=2644526


줌파 라히리가 작가로서 그에게 부끄러울 정도로 많은 빚을 졌다고 말한 에세이와 

설터의 단편 몇 편을 볼 수 있는 곳은 여기

http://www.theparisreview.org/blog/2015/06/26/spellbound-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