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 - 30년간 정신과 의사로 일하고 15년간 파킨슨병을 앓으며 비로소 깨달은 인생의 지혜 42
김혜남 지음 / 갤리온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병명이 표지에 큼지막하게 자리잡고 있는 책들은 그 안을 보기 전에 이미 내용을 예상할 수 있다.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저자의 감정에 동화되어 눈물을 흘리게 되는 그런 책임을 누구나 쉽게 눈치 챌 것이다. 그리고 그 눈치챔을 십 분 이용해 나는 그런 책들을 일부로 피하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에서 뽀르뚜가 아저씨가 죽는 부분을 읽을 때 마다(심지어 앞부분 다 뛰어넘고 그 부분만 따로 볼 때에도) 매번 울어버린다거나 역시 볼 때 마다 한 장을 채 넘기지 못하고 오열하는 통에 아예 화장실에 서서 세수하면서 <1리터의 눈물>을 읽는 과잉 감정 인간인만큼, 그런 책은 내게 굉장히 치명적이다. 책을 읽는 날은 물론 심하면 그 다음날까지도 그 여파가 이어져 우울함의 끝을 달리기 때문이다. 그런 류의 책을 읽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반응, 즉 자기가 가진 것에 감사하며 다시 한 번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대신에 혼자 슬픔에 허덕거리며 내가 가진 것의 무게에 짓눌려 '왜 이 사람이 아닌 내게 이런 것들이 있을까'라는 생각까지 하는 스스로를 알기에 크게 마음먹지 않는 한 호기심으로라도 그런 책은 펼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받았을 때 나는 '올것이 왔구나' 하고 생각했다. 표지에 "15년간 파킨슨병을 앓으며"라는 문구가 떡하니 적혀 있는만큼 이 책 역시 굉장히 버거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차마 펼칠 용기를 못 내고 미루고 또 미루다가 결국 아무 일정도 없는 날에 마음먹고 앉아 책을 들었다. 한참을 망설이다가 심호흡을 하고, 천천히 한 장을 넘겼다. 그리고 단 한 방울의 눈물도 없이 마지막 장 까지 넘길 수 있었다.

 

이 책은 파킨슨병을 앓는 저자가 자신의 병과 그를 이겨나가는(혹은 버텨내는) 과정에 대해 쓴 다른 책들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병에 대해, 그리고 그로인한 변화와 괴로움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그게 주를 이루지 않는다. 심지어 그런 이야기를 할 때에도 과하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대신에 저자는 30년간 정신과 의사로 일하며 겪었던 일들, 깨달음, 그리고 병을 앓으면서 얻은 새로운 삶의 태도에 대해 이야기 한다.

 

눈 앞의 한 발짝에 집중할 것, 저를 버리지 않는 풀이 되고싶다 생각하며 희망을 기다리고 그 희망이 찾아왔을 때 온몸으로 껴안을 것,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할 줄 알 것 등 어쩌면 뻔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들을 저자는 진심을 담아 말한다. 경험과 함께 풀어내는 그러한 이야기들은 하나 하나가 가슴에 콕콕 박혀 들어온다. 특히 "버티는 것이 답이다"라는 부분에서는 힘들다는 이유로 계속해서 회피를 갈망하는 내 모습을 돌아보며 마음을 다잡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를 말하고, "삶과 연애하라"고 말하는 저자의 모습은 희망 그 자체인것 처럼 느껴질 정도다. 하지만 마냥 빛나기만 하는 삶이 아님을 우리는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때문에 늘 감사하고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하며 희망을 껴안는 그 자세가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지나치게 걱정했기 때문에 허탈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지만, 이 책으로 인해 얻은 것은 그 이상이라고 하고 싶다. 진심이 담긴 조언과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는 이야기에 감사할 따름이다. 앞으로는 "~병"이라는 문구를 가지고 있다해서 겁부터 먹지 말라는 교훈도 함께 얻을 수 있었던 시간이랄까. 힘이 들 때면, 헤매일 때면, 희망을 껴안고 싶을 때면 찾을 수 있는 책을 만났음에 즐거운 마음이 가득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