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염된 언어 - 국어의 변두리를 담은 몇 개의 풍경화, 개정판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고종석. 이 사람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은 강준만에 의해서였다. 어늘 날인가, 강준만이 '고종석은 진정한 진보주의자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쓴 적이 있다. 그 때 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그동안 잡지나 신문에서 짧은 형태의 글만 읽다가 드디어 단행본을 하나 읽게 되었다. 저자의 전문분야인 언어학에 대한 책을 골랐다.
제목은 '감염된 언어'. 빨간 표지에 제목의 글자도 '감염'의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주었다. 감염이란 말은 느낌이 별로 좋지 못한 단어이다. 다분히 부정적인 느낌인데, 이 책에서 저자는 이 단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했다. 즉, 언어는 자연스럽게 서로가 서로를 감염시킬 때 더 풍성해지고 아름다워 진다는 것이다. 이런 논지의 연장으로 예전의 영어공용화 논쟁과 한국어순화 문제, 일본어 잔재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가끔은 저자의 주장이 파격적이라고 느끼면서도 동시에 시원스럽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이러한 탄탄한 논리에 기반한다.
1. 영어공용화 논쟁
영어공용화 논쟁은 거의 10년전에 복거일을 중심으로 벌어졌던 영어사용 확대에 관한 신문지 상의 논쟁이다. 저자는 우선 복거일의 논지에 대해 차분히 분석을 한 후, 당시 논쟁에 임했던 다른 사람들의 주장을 하나하나 비판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이 논쟁이 생산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한다. 그 이유는 논쟁에 임했던 이들이 우선 복거일의 주장과 근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잘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서로의 주장과 입장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비판도 가능할 것인데, 1차적인 이해가 선행되지 않아 비판이란 것도 논점을 벗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영어에 대한 저자의 태도였다. 저자는 영어가 현재 유럽의 라틴어, 동아시아의 한문처럼 학문 소통을 위한 국제어의 위치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이제는 학문 뿐만 아니라, 학자가 아닌 일반인들 간의 교류와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2. 한국어 순화문제, 일본어 잔재
이 부분의 핵심은 책의 제목과 긴밀히 통한다. 일본어의 잔재 그리고 더 나아가 한자어 등을 최대한 순한국어로 바꾸어 한국어를 순화 시킨다는 생각에 저자는 강력히 반대한다. 첫째로, 이러한 생각 자체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지금 내가 쓰고 있는 글의 70%은 벌써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고, 이 한자어는 또한 근대 이후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것들을 제거할 경우, 풍성하고 즐거운 언어생활은 불가능해지고, 그렇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이 책을 읽은지 벌써 열흘이 넘은 것 같다. 읽을 때는 참 열심히 읽었는데, 시일이 지나서 글을 쓰게되니 두서없는 글이 되어 버렸다. 읽을 당시에도 중요한 부분을 줄을 치고, 한 장이 끝나고 나면 그렇게 줄 친 부분이나 인상적인 부분을 포스트잇 등으로 표시를 해야 한다. 내용이 많기 때문에 이렇게 해야 나중에 글을 쓸 때 활용한 부분들을 나름대로 정리할 수 있다. 읽을 당시에는 재밌고,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논리전개에 즐거웠지만, 내 것으로 소화하려면 이러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좋은 책이므로 다시 읽을 때 그런 작업을 하겠다. 그리하여 조리있고 자연스러운 독후감을 쓰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