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을 넘는 한국인 선을 긋는 일본인 - 심리학의 눈으로 보는 두 나라 이야기
한민 지음 / 부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켑틱>에서 문화에 대한 저자의 글을 보고 좋아서 책도 읽어보고 싶었다. 그의 책들 중 가장 흥미가는 책으로 이 책을 골랐다. 나는 각 나라의 문화에 관심이 많다. 왜 그런 문화를 가지게 되었는지 그 원인이 궁금하다. 일본인과 한국인도 분명 문화적 특성을 가진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놀라는 지점, 신기해하는 지점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문화는 공통점도 차이점도 많다. 이 책은 주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두 문화를 비교한다. 


 재밌게 읽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기대에 비해 실망이 컸다. 예전에 이어령 씨가 쓴 <축소지향의 일본인> 이라는 책을 읽다가 만 게 생각난다. 역사, 문화 등 사회과학은 과학적 접근이 힘든 학문이다. 현상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때문에 같은 현상이라도 서로 정반대의 해석도 가능하다. (물론 과학도 그렇지만.) 하지만 과학은 실험을 통해 검증이 가능하다. 가설을 세우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칼 포퍼에 따르면 과학은 반증가능하다. 가설이 틀렸음을 입증할 수 있다. 이는 과학과 다른 학문의 아주 큰 차이점이자 과학의 큰 장점이다.


 저자는 한국과 일본의 서로 대립되는 현상들을 가져온다. 그리고 그 두 현상을 서로 다른 문화의 차이로 설명한다. 저자의 설명, 해석이 그럴싸하기도 하지만 얼마든지 반론을 제기할 수 있어 보였다. 근거가 부족해보였다. 


 이어령 씨가 쓴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읽다가도 느낀 부분이었다. 일본인의 축소지향적인 사례들을 계속 나열한다. 그 사례들을 토대로 일본인은 축소지향형이라고 결론짓는다. 귀납법의 오류이다. 아무리 많은 사례를 가져와도 무언가를 증명할 수는 없다. 일본인은 확대지향적인 성향도 있다. 거인, 거대화를 좋아한다. 고지라, 거인, 거대화 등등. 일본 문화 컨탠츠에서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이것들을 정량적으로, 통계적으로 분석하지 않으면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이 될 수 있다. 


 <선을 넘는 한국인 선을 긋는 일본인>은 문화해석의 한계일 수도 있겠지만 과학적인 사고방식과 접근이 느껴지지 않아 아쉬웠다. 


 또 다른 아쉬운 점은 지나치게 한국 편향적이고 국뽕이 조금 지나치다는 것이다. 나 역시 저자와 마찬가지로 국뽕을 좋아한다. 유튜브에서 국뽕 영상을 볼 때면 국뽕이 차오른다. 한국이 대단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문화를 연구하는 분이 그것도 책이라는 매체에서 이 정도로 한국편향적인 건 조금 거부감이 들었다. 아마 저자가 일본에서 태어난 일본인이었다면 분명 한국문화는 비판적으로 이야기하고 일본문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을까 싶다.


 저자의 해석들이 틀렸다는 의미는 아니다. 좋은 책은 독자를 설득하는 책이라 생각한다. 탄탄한 근거와 논리적인 설명으로 아무리 의심많은 독자라도 납득하게 만드는 책이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총, 균, 쇠>가 계속 떠올랐다. 분명 저자는 문화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고 많이 알고 있어서 자신이 설명하는 것들이 자명하게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나와 같은 독자들은 문외한이라 저자의 사고를 따라가지 못한다. 특히나 나는 의심이 많아서 계속 반론을 생각하게 된다. 때로 좋은 책은 예상 가능한 독자의 반론까지 끄집어 내서 그 반론을 처리해준다. 



 한국과 일본의 문화의 장단점을 균형있게 다뤄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저자의 다른 책 <슈퍼맨은 왜 미국으로 갔을까>는 어떨까? 궁금해서 저자의 책을 좀 더 읽어봐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