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석 강아지 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자석 강아지 봅 - <책 먹는 여우>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프란치스카 비어만 글.그림, 임정희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1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온 가족의 사랑을 받던 에트나에게 남동생이 생겼어요.  사실 이 일이 얼마나 큰일인지는 당사지인 에트나가 아니면 잘 모를지도 모르지요. 

 아이들에게 있어서 관심의 대상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저도 아이들을 통해서 알게 되었거든요.  

3살 차이나는 큰 아이가 성격도 실거운 편이고 동생에게 잘 하는 편이라  항상 동생에게 양보하라하고 동생편을 많이 들어주고 동생말을 더 많이 들어주고 눈을 맞춰주고 안아주는 것에 대해서 불만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날 큰 아이가 그러더라구요. 엄마는 맨날 자기만 빼고 동생하고만 지낸다구요. 왠일인지 그 말이 쉬 잊혀지기가 않았는데 <자석강아지 봅>의 이야기를 읽고 나니 어쩌면 저의 큰 아이의 마음과 에트나의 마음이 같은 마음일 거란 생각이 들었어요.  

이 책은 표지에서부터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책이네요. 처음 책 표지의 에트나가 들고 있는 것이 장난감가방이란 착각으로 시작해서 내용을 읽다보니 저절로 궁금증도 풀리고 그림도 흥미로웠어요.  

 

처음부터 에트나가 화를 내지는 않았을 거예요. 분명 동생이 생기면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해야지 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을텐데 그 정도로 자라려면 세월이 어느 정도 지내야겠지요. 실망한 에트나의 표정이 눈에 선하네요. 예전 우리 아이들 생각도 나면서요. 그래도 움직이지 않을때는 좋았는데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동생 봅은 에트나의 모든것을 망치기 시작해요. 그래서 화산처럼 폭발해 버리는 에트나는 동생에게 해서는 안되는 행동도 하게 되고 그 때문에 온 가족들로 부터 비난을 받기도 해요. 그러다 발견하게 된 봅의 기발한 능력으로 인해 에트나는 새로운 놀이도 하게 되고 급기야 도둑까지 잡게 되면서 동생에 대해서 다른 감정을 가지게 되지요.  

작가의 상상력이 끝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뭐든지 눈에 띄는 것은 입으로 가져가는 습성을 가진 모든 아이들을 소재로 봅에게  쇠성분들을 끌어당기는 기발한 능력을 가지게 하고 그 능력을 이용하여 에트나가 동생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만드니까요.  아마 봅이 더 커서 에트나와 놀이를 하게 되면 자신들만의 세계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가끔은 어른들이 모르는 아이들의 세계가 궁금해지게 만드네요.

그림체도 따뜻하면서도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을 의인화해서 만들어서 아이들도 무척 좋아하더군요. 책 먹는 시리즈 중의 하나인데 아직도 <책 먹는 여우>의 그림이 생각나서 기분이 좋아지네요.  

우리 아이들도 <자석강아지 봅>에서의 에트나와 봅처럼 때로는 싸우지만 때로는 서로를 더 이해하고 사랑하는 사이좋은 남매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더 자주 읽어 주어야 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