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혹과 잔혹의 커피사 - 당신이 커피에 관해 알고 싶었던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개정증보판
마크 펜더그라스트 지음, 정미나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5월
평점 :
점점 유럽의 열강들이 자신들의 식민지에 커피 재배를 도입시키면서 커피의 재배, 수확, 가공에 막대한 노동력이 필요해졌고 이 인력은 수입 노예로 충당되었다. 드 클리외 대령은 자신이 들여온 커피나무를 사랑했을 테지만, 그 나무의 무수한 후손들을 자신의 손으로 직접 수확하지는 않았다. 그 일은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의 몫이었다.
-
노예들은 처음엔 카리브해 연안으로 끌려가 사탕수수를 수확했거, 사실 설탕의 역사는 커피의 역사와도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이 값싼 감미료는 씁쓸하게 우려진 커피를 수많은 소비자의 입맛에 맞춰 주었을뿐만 아니라, 카페인의 각성 효과에 더해 즉각적인 에너지 상승 효과까지 보태 주었다.
-
“미국의 커피 회사들은 가격만 맞으면 아민이나 히틀러 같은 학살자와도 기꺼이 거래를 하는 그런 곳입니까?” 확실히, 그 답은 ‘그렇다’였다.
-
💁🏻♀️ 매혹과 잔혹의 커피사. 나한테 커피는 매혹적인 존재이다. 책을 다 읽고 덮은 지금도 마찬가지. 고2 때 아는 언니를 통해서 커피빈을 알게 되었고, 또래에 비해 일찍 프랜차이즈 원두 커피에 눈을 떴다. 아마 그 때 눈을 뜬 덕분에 스무살에 첫 알바를 커피빈에서 일년여간 했었고, 백수 시절엔 바리스타 자격증을 따겠다고 도전할 정도니. 커피가 내게 얼마나 매혹적인 존재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사실 이 책에서는 커피의 역사와 함께 커피의 긍정적인 면과 조심해야 하는 부분을 함께 기술하고 있다. 만약 내가 그냥 읽었다면 “봐봐, 이래서 커피를 마셔야 한다니까?”라고 하면서 긍정적인 면을 계속 줄치면서 부각시켜 글을 썼을 것이다. 근데 나는, “잔혹의 커피단”이기 때문에 커피의 잔혹한 모습을 (최대한의 노력으로 고르고 골라) 찾아보았다. 씁쓸한 면을 꽤 많이 가진 커피의 역사와 힘 없는 사람들의 목숨이 걸려있기도 한 이런 잔혹한 커피지만. 하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커피가 참 좋아. 책을 덮은 지금도 고소하고 따스한 커피 한 잔이 너무너무 마시고 싶은 걸.. 그러니 저랑 커피 한 잔 하실래요?
-
#도서협찬 #도서제공 #강슨생의_사생활
#강슨생의_서재 #매혹과잔혹의커피사 #을유문화사
#커피사 #바리스타 #역사 #커피 #책스타그램
해당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