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아이도 예외 없이 사춘기라는 거대한 성장의 과정을 지나야한다. 이 과정을 아픔으로 얼룩지게 해서 보낼 것인가, 아니면 성장의 발판으로 만들 것인가는 사춘기를 어떤 관점으로 보는가에 달려있다. 엄마가 어떤 마음으로 아이의 사춘기를 보느냐에 따라 두렵고 끔찍한 사춘기가 될 수도 있고, 아이의 따뜻한 베이스캠프가 되어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아이의 사춘기를 성장 과정이라는 큰 그림에 초점을 맞춘다면 아이의 작은 몸짓 하나에서도 성장 가능성을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시선으로 사춘기를 바라볼인가는 오직 엄마의 몫이다. - P40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 박사는 "행복하면서도 성공한 사람의 공통된 특징은 높은 지능, 학업 성적, 부유한 환경이 아니라 감성지능이 높은 사람이다"라고 감성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말한다. 엄마의감성능력은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면서 진지한 대화를 하게 한다. 이러한 엄마의 모습은 아이에게 좋은 거울이 되어주고, 아이에게 스펀지처럼 흡수될 것이다. 아이는 자신이가장 믿고 존중하는 사람이 자기 감정을 수용해준다고 느낄 때 자신이 사랑받고 인정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마치 어릴 때부터매일 감성의 샤워를 받으며 자라는 것과 같다. 이러한 경험은 사춘기 시기에 매우 중요하다. 아이는 늘 함께하는 엄마의 감성능력을통해 이미 그 능력의 틀을 갖추어 나가게 되는 것이다. - P47
그렇다면 비전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카네기 자녀 코칭》의 저자 어거스트 홍은 비전과 꿈에 대해 자크 호로비츠 박사의 정의를인용하여 아주 쉽게 알려준다. "비전은 마감일이 있는 꿈이다Vision isDream with Deadline." 비전도 꿈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꿈과 달리 마감일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나는 작곡가가 되고 싶다"는 것은 꿈이고, "나는 작곡가가 되기 위해 20대에 음대에 진학하고, 30대에 한국작곡가상을 받겠다"라는 것은 비전이다. 그래서 ‘꿈‘은 꾸고, ‘비전’은이룬다고 한다. 아이가 자신의 비전을 세워보는 것은 미래의 자기모습을 마음속에 그려보는 것이다. 때때로 비전은 수정하게 될 수도 있고, 더 확대될 수도 있다. 비전을 업그레이드 해나가는 과정을통해서 점점 자신이 원하는 원대한 비전의 그림이 명확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 마음에 비전을 심어준다면 자신감과 열정은 보너스로 따라오기 마련이다. - P80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라는 데카르트의 말처럼, 좋은 책을 읽는 일은 언제 어디서나 과거의 뛰어난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그러는 동안 자신을돌아보고 성찰하는 시간을 갖게 해준다. 책을 읽는 일은 먼저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과 나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리고 이를 포함한 주변의 환경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이해‘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혀가게 되는 것이다. - P141
하버드대학에서 7세 어린이 450명을 40년간 추적 연구해 성공과출세에 가장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발표했는데, 첫째는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능력, 둘째는 좌절과 역경을 극복하는 태도, 셋째는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그것이다. - P186
‘뒤센 미소‘는 기욤 뒤센 Guillaume Duchenne이라는 프랑스 심리학자의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는데, 눈가와 입 주변에 주름이 잡힐 정도로 웃는진실된 미소를 말한다. 입가의 근육은 일부러라도 움직일 수 있지만, 눈가의 근육은 인위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활짝 웃는뒤센 미소에 가식이란 있을 수 없다.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우러나오는뒤센 미소는 아이와 나를 연결해주는 최고의 매력적인 몸짓이며, 긍정적이고 신뢰의 마음을 심어준다. le최근 아이에게 활짝 미소를 지어 보내준 적은 언제인지 생각해보자. 아이 또는 배우자가 당신에게 활짝 뒤센 미소를 보내준다면 당신의 마음이 어떨지 상상해보라. 미소가 먼저여서 행복감이 느껴지든, 행복한 마음에 미소를 짓게 되든그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미소와 행복감은 늘 함께 연결되어 영향을주고 있다. 이왕이면 활짝 웃는 뒤센 미소가 전하는 에너지는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기억하도록 하자. - P210
5Question에 따라 대화하기 •1Q: "그동안 잘 해내고 있는 것은 무엇이니?" •2Q: "해보려고 했는데 네 생각만큼 잘 되지 않은 것은 어떤거니?" •3Q: "그런 마음을 통해서 네가 새롭게 해보고 싶은 것은 무엇이니?" •4Q: "엄마하고 어떤 이야기를 더 나누면 네게 도움이 될까?" •5Q: "엄마와 얘기하는 동안 새롭게 정리된 생각을 말해주겠니?" - P2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