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펠덴크라이스는 사람들에게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다음 고개를 아주 살짝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20회(혹은 그 이상)18하도록 했다. 동작은 가급적이면 작게 하고 힘을 최소로 들이라고했다. 그리고 그 동작이 머리, 목, 어깨, 골반의 왼쪽에, 그리고 나머지몸의 왼쪽에 미친 영향만을 느끼도록 했다. 이런 변화를 관찰하면 몸의 왼쪽 전체의 근육긴장이 줄어든다(비록 고개를 들 때는 몸의 양쪽이다 움직이지만). 자각 자체가 운동피질과 신경계를 재조직하도록 돕기때문이다. 만약 이런 운동을 하기 전과 후에 신체를 스캔한다면, 왼쪽의 신체상이 이제 오른쪽보다 더 가볍고 크고 길고 이완되게 느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왼쪽에 해당하는 뇌 지도가 더 세밀하게분화되고 신체를 더 상세히 표상하기 때문이다. 많은 동작 문제들이 해당 신체 부위가 뇌 지도에서 제대로 표상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이렇게신체 근육긴장과 뇌 지도를 바꾸는 기법은 치유에 도움이 된다.) - P269
유전자는 아이를 자폐증의 위험에 빠트리지만, 질병이 되려면 일반적으로 환경적 요인이 동반된다. 이런 환경적 요인의 상당수는 아이의 면역계가 자극되어 항체가 분비되고 만성 염증을 일으켜 생긴뇌의 타격이다. 많은 자폐증 아이가 면역계 이상과 과민한 면역계를보인다. 위장관 감염, 염증, 음식 민감도(주로 곡물, 글루텐, 유제품, 설탕), (염증을 수반하는 천식, 피부 염증 발병률이 높다. 소염제가 자폐증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화학물질 결핍 같은 염증과 무관한 요인도 있지만, 염증이 결정적 요인으로 보인다. 허버트는 염증을 해결하고 나서 급격하게 좋아진 아이들의 사례를 많이언급한다. 일례로 많은 염증 증상과 감염을 보였던 케일럽이라는 소년은 퇴행성 자폐증이 일어났지만, 열 살 때 어머니가 식단에서 글루텐을 없애자 자폐증이 사라졌다. - P490
그레고리에게 일스를 하도록 한 것 말고도 클로에가 바꾼 것이또 있었다. 그녀는 아이가 글루텐과 설탕이 들어간 음식에 몹시 민감하다는 것을 알아챘다. "아들에게 설탕을 주는 것은 코카인을 주는 것과 같아요." 설탕은 그를 한층 더 과민하게 만들었다. 2013년 하버드연구는 설탕이 아주 많이 들어간 음식, 특히 가공식품이 실제로 코카인이 영향을 주는 뇌 부위를 켠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설탕을끊고 전반적인 뇌세포 건강을 증진하면서, 주의 회로를 자극하고 훈련시키는 일스도 같이 사용했다. - P507
뇌졸중, 통증, 학습 문제, 정신력 감퇴, 기타 뇌 문제와 정신질환에 대한 추가적인 치료법과 훈련 기법은 『기적을 부르는 뇌』에서 소개했다. 자신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신경가소적 접근을 찾는 독자들은 두 권을 함께 읽으면 신경가소성 적용의 이해가 보다 풍부해진다. 추가적인 정보는 나의 웹사이트 normandoidge.com에 올려놓았다. - P568
뉴로피드백은 정교한 형식의 바이오피드백으로 이 책에서 소개한 많은 질환들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이다. 최근에 미국 소아과학회로부터 ADD와 ADHD 증상 치료에 처방약만큼이나 효과적인 것으로 인정받았다. 뇌 훈련의 형식이므로 부작용이 거의 없다. - P5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