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안 한다고요? 드러누워 자라는 중입니다 - 사춘기 자녀를 이해할 수 없는 부모들에게 행복한 성장 4
엘리자베트 라파우프 지음, 유영미 옮김 / 갈매나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녀의 사춘기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잘 넘어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다. 그리고 '나의 사춘기는 어땠는지' 비교해 보는 부모들도 많을 것이다. 오늘날의 부모는 사춘기의 아이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튀기 싫어하면서도 주목받고 싶어 하고, 반항하는 동시에 인정을 바라며, 위태로운 도전을 즐기면서도 안정을 필요로 한다'는 사춘기의 전형적인 특징이 와닿았다. 누구보다도 힘든 사춘기를 보낸 심리치료사이자 이 책의 저자인 엘리자베트 라파우프는 사춘기 아이들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며 부모가 지녀야 할 마음가짐과 대화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준다.


시대가 달라진 만큼 이해해야 하는 폭이 달라진 건 사실이다. 하지만 옛날이나 지금이나 공통적인 건 역시 부모의 절대적인 믿음과 응원 그리고 사랑이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이들은 부모의 사랑을 원하고 있었다. 아이의 무례함과 폭력적인 행동에도 부모는 평정심을 유지한 채 단호하면서도 따뜻하게 아이의 행동을 지적해 줘야 한다는데, 이게 참 어려운 것 같았다.


사춘기라고 마냥 힘들고 어려운 상황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아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도, 취향을 알아갈 수도, 자신의 특별한 커리어를 시작할 수도 있는데, 이 모든 걸 이끌어줄 수 있는 사람은 결국 부모였다.


이 책은 특별한 조언은 없지만, 사춘기에 대한 '이야기'를 섬세하게 풀어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공감하며 읽을 수 있었다. 자녀의 행복과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부모라면 꼭 읽어보시길 바란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춘기는 생산적인 시기다. 많은 부모의 눈에 그것이 추락하는 시기로 보이겠지만 말이다. 사춘기가 부모의 보호 아래서 아이 스스로 시험해보는 시기라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좋게는 창조성을 발휘하거나 특별한 커리어를 시작하는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 - P21

사춘기 아이들 역시 신뢰가 형성된 관계에서 질문한다. 어떤 질문을 해도 비웃음을 받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거나, 지루한 설교와 도덕적 훈계를 들을 염려가 없을 때 질문하다. - P197

부모, 자식이 서로 독립된 인간으로 서는 것은 부담을 덜고 마음을 가볍게 하는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스스로 이를 의식하고 자신이 영향력을 잃었다는 사실을 경쾌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