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의 평화를 위한 요가 철학 레시피 - 완전한 명상으로 이끄는 요가 수업의 기술
세이지 라운트리.알렉산드라 데시아토 지음, 김지윤 옮김 / 동글디자인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가인이라면 특히 요가 지도자라면 꼭 읽어야 하는 책 <내면의 평화를 위한 요가 철학 레시피>. 이미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 책은 단순히 요가의 자세를 가르쳐주는 것이 아닌, 요가의 본질이자 내면의 평화를 찾을 수 있는 명상을 수련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코로나19가 터지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최소 일주일에 2번은 꼭 요가 수업을 들었었다. 몸을 위해서도 있었지만, 요가를 하면서 잡념을 떨쳐버릴 수 있었기에 컨디션이 좋지 않더라도 꼭 참여하곤 했었다. 수업의 마지막은 언제나 명상이었는데, 그 시간을 참 좋아했다.


이사를 온 후, 코로나도 잠잠해졌지만, 다녔던 요가학원만큼 명상하는 곳을 찾기 어려웠다. 결국 원데이클래스를 이용하거나, 집에서 하곤 했는데 명상에 집중할 수 없었다. 아니 명상은커녕 온갖 생각들이 스멀스멀 올라오곤 했었다. 결국 명상은 포기하고 단순한 요가 동작에만 집중했다.


그러다 만나게 된 책 <내면의 평화를 위한 요가 철학 레시피>. 처음엔 너무 전문적이라 정말 소소한 취미로 하는 나에게 어렵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동작이나 명상의 방법이 아닌, '우파니샤드, 요가수트라, 바가바드 기타 등' 경전에 기반한 요가 철학이 담겨있었고, (덕분에 흥미롭게 공부도 했다) 내면 수련을 할 수 있는 54가지 주제도 볼 수 있었다. (요가 지도자에게 꼭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주제마다 어울리는 음악과 시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요가 동작과 마음에 좀 더 집중해 볼 수 있는 포인트가 되어 주었고,


명상의 질은 당연히 높아졌다 :)


단순히 요가 동작만을 가르쳐주는 것만이 요가 수업의 다가 아니란 걸 증명해 준 책이자, 요가 지도자들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책 <내면의 평화를 위한 요가 철학 레시피>. 요가를 사랑한다면, (요가 지도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실한 목소리를 찾고 싶다면 꼭 읽어보시길 바란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가를 하며 몸을 쓰는 행위 자체로도 큰 도움을 주지만, 여기에 주제와 영감을 주는 말을 더하면 그와 같은 효과를 가장 온전하게 낼 수 있다. - P20

꼭 다양한 호흡법을 가르칠 필요는 없으며, 수강생들(그리고 본인!)에게 그저 다시 호흡으로 돌아올 것을 가르치면 된다. 그것만으로도 주제가 된다. - P65

요가는 우리 자신보다 더 큰 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신을 내맡기도록 권장한다. 요가란 ‘결합‘을 의미한다. 내맡긴다는 것은 자기 자신보다 큰 신성한 무언가와 자기 자신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다. - P101

매트 위에서나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어떤 시도를 하고 있든지 그것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발을 굳게 딛고 서서 움직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인이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로 도착하기를 원하는지 온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 P160

만약 참지 못하고 화를 내거나 어리석은 말을 했을 때, 혹은 스스로 자책하게 되는 그 어떤 순간이라도 중단하고 축복하라. 자신을 용서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