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에 초대합니다
안드레아 자크만 지음, 강대인 옮김, 윤종식 감수 / 가톨릭출판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톨릭 신자라면 예비 신자 교리를 통해 기본적인 전례들을 알고 있을 것이다. 더 많이 알고 싶어도 교리를 배우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고, 인터넷으로 찾아본다고 해도 - 방대한 내용과 조금씩 다른 이유로 - 정확한 내용과 적용되는 이유를 찾기가 쉽지 않다. 그 고민을 속 시원히 풀어줄 책은 바로 <전례에 초대합니다>이다.



이 책은 - 미사와 연관된 것, 전례복, 그 외 전례와 연관된 것 - 총 3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었다. 성당 입구에서부터 성체 조배실까지 구석구석 모든 것을 알려주었으며, 내용마다 사진도 포함되어 있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미사 시간에 궁금했던 '행렬 십자가' 그리고 세례성사와 견진성사에 사용되었던 '성유'까지 대략은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지' 역사적으로도 알 수 있어 좋았다.


책을 읽고 난 후, 성당에 가니 이 책에서 보았던 것들이 하나하나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단순히 기도만을 위한 미사가 아닌, '하느님과 한층 더 가까워지는' 미사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알수록 보이는 것이 많아지듯, 신앙도 계속해서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 시작이 된 책 <전례에 초대합니다>. 앞으로 가톨릭출판사에서 펴낸 ' ~ 에 초대합니다' 시리즈를 탐독해 볼 예정이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신자석에서 전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는다. 자리에 앉아 배우기도 하고, 복음 봉독과 특별한 기도와 같이 어떤 위대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려고 일어서기도 한다. 그리고 무릎을 꿇기도 한다. 하느님 앞에서 무릎을 꿇는 것은 우리의 겸손을 드러내고 하느님께 공경을 드리는 표시다. - P21

4세기에는 그리스도교에서도 유다교처럼 성경을 봉독하는 자리가 생겼다. 이것이 바로 독서대다. ... 9세기에는 거의 대부분의 성당에 성경을 봉독하거나 강론을 하는 독서대 한두 개가 생겼고, 14세기에 와서는 그 설계에서부터 대부분 강론대로 바뀌었다. - P78

우리는 주님의 현존 안으로 들어갈 때 스스로 성수를 찍어 성호를 긋는다. 이렇게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자신을 축복해야 한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행위를 통해 우리가 받은 세례를 상기할 수 있다. - P107

사제와 부제는 영대를 메는 위치가 다른데, 사제는 마치 멍에를 멘 것처럼 영대를 목에 걸고 가슴 앞에 드리운다. 이에 반해 부제는 영대를 왼쪽 어깨에 걸고 비스듬히 가슴을 거쳐 오른쪽 옆구리에 오게 멘다. 영대 위에 제의를 입는다면, 그 둘의 색깔은 전례 시기의 색을 반영하여 통일해야 한다. - P136

초기 교회가 성화와 성상에 대해 어떤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잘못된 진술이다. 그리스도교를 공인한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 교회는 자연스럽게 모든 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했다. ... 우리는 우리 곁에 살아 있는 이들에게 전구를 청할 수 있다. 그들은 이제 우리 기도를 하느님의 제대에 가져다 바쳐줄 것이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