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땅의 역사 6 - 흔적 : 보잘것없되 있어야 할 ㅣ 땅의 역사 6
박종인 지음 / 상상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조선일보' 화제의 연재작이자 놀라움으로 가득한 시리즈 <땅의 역사>의 여섯 번째 이야기. 이번 이야기의 주제는 흔적이다. 우리 곁에 있지만 눈여겨보지 않았던 건축물과 비석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담겨있는데, 그 흔적들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나라에 숨겨진 뒷이야기들이 색다르게 다가온다.
수많은 이유로 사건의 사실은 왜곡이 되고 은폐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땅의 역사 6>은 우리가 지나온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총 4장으로 나뉜 이 책은 조선 전기부터 근대까지 아우르고 있으며, 여행과 역사 전문기자인 저자답게 전국의 역사를 글과 사진이 담겨있었다. '백성들에 의해 밧줄에 묶인 채 버려진 건달 왕자 임해군, 아버지 사도 제자에 대한 기록을 왜곡하고 은폐한 정조, 해방 직후 친 일재벌의 집에 살았던 민족 지도자 김구 등등' 그동안 알지 못했고 사라질 뻔했던 역사적 뒷이야기들이 정말 놀라웠다.
중간중간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는 자료들을 통해 숨겨진 역사가 더욱 피부에 와닿았다. 처음의 의도대로 보존되어 있어야 할 건축물과 유물들이 변형되거나 사라지고 아예 의미 자체를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존재하기도 했다. (이 책을 만나지 못했다면 영원히 그 의미를 모르고 지나갔을 것이다) 또한 과거를 마주할 때 현재를 살아낼 수 있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더 깊이 깨달았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며 <땅의 역사> 시리즈가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지 이해할 수 있었다. (정말 흥미롭기 때문이다) 더 다양한 주제를 담아 계속해서 이 시리즈가 이어지길 바랄 뿐이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근왕병 모집을 위해 함경도로 떠난 임해군과 순화군은 ‘좋은 말이나 보화를 보면 반드시 이를 빼앗았고‘, ‘적이 바로 보이는데도 백성을 흩어지게 할 생각밖에 없었다‘. ... 전시에도 아랑곳 않는 만행 행각 속에 두 왕자가 회령에 도착했다. 기다리고 있던 회령 사람들은 이들을 밧줄로 꽁꽁 묶은 뒤 성문을 열고 일본군에게 넘겨줘 버렸다. - P69
무늬만 학교인 그 성균관이 연산군 때는 기생파티장으로 추락하더나 중종 때는 마침내 텅 빈 교정이 소를 잡아먹는 도살장으로 변해버렸다. ... "성균관이 도살장으로 변했다"는 보고는 국가가 망쳐놓은 성리학 교육을 자기들이 하겠다는 암시였다. - P80
영조 때 <승정원일기>에는 ‘영조가 묘지문을 구술했다‘는 기록만 있고 내용은 삭제돼 있다. 이 또한 사라진 것이다. 그리고 정조는 본인이 새로운 묘지명을 작성하면서 ‘한 글자를 쓰면 쓰는 대로 감추고 비문이 완성되자 곧바로 묘속에 묻어버려 세상 사람들이 내용을 알지 못했다‘. 그 덮개에는 ‘장헌세자 현륭원지‘라고 새겼는데, 현장에서 ‘사도‘라는 글자가 빠졌다고 하자 그제야 몰랐다는 듯 추가하라고 명했다. - P146
조병갑은 본인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역사 흐름을 역류시킨 사람이다. ... 그저 개인 탐욕에 눈이 멀어 만석보를 만들고 아비 공덕비 비각을 세웠다. 물세를 뜯고 비각 건축비를 착취했다. 착취당한 백성이 죽창을 들었다. 그 죽창을 꺾기 위해 정부에서 외국군을 불러들였다. 그 외국군끼리 조선에서 전쟁을 벌였다. 전쟁 결과 조선이 일본 손아귀에 들어가는, 톱니바퀴처럼 정교하게 돌아간 역사를 조병갑은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 P160
1895년 10월 왕비 민씨가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되고 닷새 뒤에 옛 연인을 불러들였다는 뜻이다. 황현 기록에는 ‘도성 사람들이 모두 한탄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넉 달 뒤 고종이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공사관으로 달아난 ‘아관파천’도 엄 상궁이 주도한 일이었고, 1897년 2월 경운궁으로 환궁하고 8개월 뒤 영친왕이 태어났으니 이은은 그 러시아공사관에서 잉태된 아들이었다. - P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