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영국 여인의 일기, 1930 어느 영국 여인의 일기
E. M. 델라필드 지음, 박아람 옮김 / 이터널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년 전 영국 여인의 삶에서 우리의 자화상을 마주하다.' 이 문장만큼이나 강렬하게 이 책을 소개할 수 있을까. 1930년에 처음 출간되었지만, 지금과 다름없는 현실 속에서 뼈를 파고드는 강력한 위트와 유머로 가득한 이 '영국 여인의 일기'는 너무도 많은 영감을 안겨주었다.



저자 E.M.델라필드는 주간지에 글을 기고하다가, 편집장의 권유로 중산층을 위해 매주 일기 형식으로 이 소설을 연재했다고 한다. 당시 사람들은 이 소설이 100년이 지나서까지 인기가 있을 줄 상상이나 했을까? 


작품 속 주인공 '나'처럼 저자 또한 살림을 위해 글을 쓴 작가였다. '나'는 그 당시 일반 여성들과 다르게 지적이며 모던함을 추구하는 여성으로 살고 싶어했지만, 남편과 두 자녀는 그녀의 뜻을 이해하지 못했다. 지금 현시대의 엄마들과 비슷한 고민을 하고 비슷하게 전전긍긍하며 한 여성으로서의 성장을 추구하는 그녀를 보며 안타까우면서도 저항하기 위해 일기를 쓰는 그녀가 애틋했다.


사실 그녀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 또한 현재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인물들이었다. 말이 너무 많은 사람, 상대방의 기분은 생각지도 않으며 거만하기만 한 사람, 자신의 신념이 강해 모두를 지치게 만드는 사람 등 그녀가 엮이는 사람들 모두 드라마에 나올법한 상황을 만들면서도 마치 우리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상황과 많이 닮아 있었다. 100년 전 시대이며 영국 작은 지방 소도시의 생활임에도 공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대로 알 수 있었다.


오랜만에 푹 빠져서 피식- 웃기도 하고, 많은 영감을 안겨준 책 <어느 영국 여인의 일기, 1930>. 모두가 이 일기의, 그녀의 매력을 알게 되기를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화제의 전환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흐름을 추적해 봐도 재미있을 듯. 그러나 잠시 후에 드는 생각: 아마도 그런 사고의 흐름은 없을 듯. - P25

오후에 레이디 복스가 찾아온다. 혹시 내가 패렴에 걸렸을까 봐 걱정돼서 왔나? 하고 잠시 기대하지만 그녀는 대뜸 5월 초에 열릴 바자회를 도와 달라고 한다. 좀 더 캐보니 정당의 기금 마련을 돕는 바자회란다. 내가 묻는다. 어떤 정당요? (레이디 복스의 정치관은 이미 잘 알고 있는데 내가 당연히 자기와 똑같은 정당을 지지할 거라 생각했다니 부아가 난다. 어림없는 소리.) - P81

나는 새로 산 옷들에 관해서도 적당히 털어놓는다. 그러곤 언제 입을 거냐는 남편의 물음에 아주 현실적으로 대꾸한다. 누가 알겠냐고. 우리의 대화는 그렇게 끝난다. - P119

날이 춥고 으스스하다. 내가 불평하자 로버트는 꽤 따뜻한 날씨인데 내가 충분히 움직이지 않는 탓이라고 단언한다. 자주 깨닫듯 남자들은 삶의 소소한 문제에 절대 공감해 줘선 안 된다는 이상한 규칙을 갖고 있는 것 같다. - P212

전화벨이 울릴 때마다 (a) 큰 돈이 생겼다는 소식이거나 (b) 끔찍한 재앙의 소식일 거라고 생각하는 어리석고 미성숙한 습관을 고칠 것. - P2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