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 맞은 장날입니다 - 전국 오일장에 담긴 맛있는 사계절 김진영의 장날 시리즈
김진영 지음 / 상상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에세이라고 하면 대부분 관광명소나 맛집이 대부분인데, <제철 맞은 장날입니다>는 정말 색달랐다. 제철 맞은 시장의 풍경과 먹거리를 동시에 담은 책이라니, 진정한 맛과 이야기가 너무도 궁금할 수밖에.



여행지의 진정한 맛집은 시장에 가야 알 수 있다는 사실이 더욱 증명되는 이 책은 허영만 화백이 강력히 추천한 오일장 시리즈의 마지막 이야기이다. 저자는 대한민국 대표 식품 MD이자 '계절마다 맛이 빛나는 지역을 찾아 떠났다'고 한다. 나이가 들며 사계절 빼먹지 않고 제철 음식은 꼭 먹어봐야겠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는데, 이 책 하나로 '사계절의 맛'을 제대로 공부할 수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장터가 있다니, 놀랍기도 했으며 기존 오일장에 관련된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여행을 가기 전 꼭 참고하겠다고 다짐을 했다. :) 이 책에는 맛집이 없고, 많이 찾는 식재료도 없다. 그러나 그 계절에 꼭 맞는 우리가 몰랐던 정말 맛있는 식재료가 있다. 또한 나물부터 생선과 토종 작물 등등 품종에 따라 달라지는 맛의 차이와 요리법 그리고 더 맛있게 먹는 법까지 음식, 식재료의 진정한 맛을 찾는 사람들에게 꿀팁을 선사한다.


식재료와 맛뿐만 아니라 특별한 이야기도 담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인구가 적어져 오일장도 점점 상설시장으로 대체되거나 아예 사라져버린다는 사실이었다. 장날의 가치를 이제야 알게 되었는데, 참 안타까운 현실이었다. 정겨운 풍경과 맛있는 제철 식재료를 위해서라도 남은 오일장들이 꼭 오래오래 유지되길 바라본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물전은 밀가루 옷이 많아서는 안 된다. 밀가루의 질감이 나물의 식감을 방해한다. 나물과 나물이 붙을 수 있는 최소한의 반죽이면 족하다. ... 오가피는 묵직한 존재감을 내면서도 달곰 쌉싸름함이 일품이었다. 스쳐 지나는 봄을 잠시 붙잡고는 "봄을 부쳤다". 계절 음식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 P56

농부가 작은 오이 하나를 내밀었다. 토종오이. 작아서 꼬마 오이나 피클용 오이처럼 보이는 녀석이다. ... 긴 모양으로 개량한 오이와 달리 긴 여운을 지닌 향과 청량한 단맛이 일품이다. 육질 또한 단단해 씹는 소리가 더위를 한 방에 날린다. - P106

봄, 여름보다는 가을이 양하 먹기에는 제격이다. 땅속줄기에서 뻗어나온 꽃대가 올라오는 시기다. 흙이 묻은 부분을 잘 씻어내고는 장아찌를 담가도 좋고 튀김을 하면 별미다. 고기 먹을 때 같이 구워도 좋다. - P220

콩물을 숟가락으로 떠서 맛보자 예상대로 그윽하고 우아하게 고소한 콩 향기가 입 안에 퍼진다. ... 여름에는 결코 맛보지 못한 콩국수 맛이다. 여름에 먹는 콩국수는 시원함이 장점이라면 겨울에 먹는 콩국수는 ‘맛‘이다. - P307

재료로 음식을 찾는 순간 맛은 더 다양해진다. 제주에서 맛있는 재료는 오일장에 다 있다. - P3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