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고통 - 인간은 왜 취하고 상처 내고 고립되는가
마쓰모토 도시히코 지음, 김영현 옮김 / 다다서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세상에는 살아가기 위해 고통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다." 이 문장만 보면 그 누가 공감할 수 있을까? 하지만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고통>을 읽고 나면 저 문장의 의미가 너무도 크게 다가올 것이다.



저자는 의존증 전문 정신과 의사로서 25년간 겪은 임상의 기록 속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약물 의존증을 가진 사람들은 '사람에게 의존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점이었다. 사람으로부터, 세상으로부터 멀어지고 약물에 의존하게 된 그들이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고통'이나 '건강하지 않은 상태'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이들을 이렇게 만든 건 무엇일까? 그 원인을, 약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귀 기울여 들어봐야 하지만, 이 사회는 들어보지도 않은 채 이들을 세상 밖으로 몰아내려고만 할 뿐이다. 몸이 아픈 것은 이해하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마음, 정신이 아픈 것에는 아직도 관대하지 못하고 치료받기가 (예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도) 어려운 현실이 안타까웠다.


'힘들게 하는 사람은 힘들어하는 사람'이라는 저자의 말은 보통 사람이든, 약물 의존증을 가진 사람이든 다 똑같은 사람으로 봐야 하며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결국 답은 '사람'이라는 걸 깨달았다. 약물 의존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무조건적인 처벌보다 -제대로 판단해서-알맞은 치료를, 또한 사람을 믿고 연대를 쌓아가는 과정에서 세상도 마주할 수 있는 그런 날들이 오길 바라본다.


'의존증'에 대해 더 상세히 알 수 있었으며, 그 이면엔 어떤 이유가 있는지 알 수 있었던 책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고통>. 꼭 의존증을 가진 사람이 아니더라도 결국 우리 이야기, 사람 이야기이기에 한동안 여운이 지속될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그들은 안심하고 타인에게 의존할 수 없는 사람, 혹은 마음속에 덩그러니 뚫린 구멍을 ‘타인과 연결‘되어 메우지 못하고 약이라는 ‘물건‘으로 메우려 하는 사람들이다. 그렇지만 비뚤어지고 도전적인 표현으로라도 사람에 대한 절망을 사람에게 전하는 그 모순된 행위 자체가 ‘타인과 연결‘되기를 원하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 아닐까? - P28

의료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바다에 빠진 의존증 환자에게 ‘구명부포‘를-되도록 절묘한 타이밍에-던져주고 육지의 방향을 알려주는 것뿐이다. 그 구명부표를 자기 손으로 붙잡고 육지까지 헤엄치는 것은 의존증 환자 자신의 몫이다. - P48

얼핏 건강하게 일상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듯한 사람들 중에도 사소한 불건강과 아픔으로 균형을 맞추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 P70

‘지금의 자신(또는 차)‘과 매듭을 짓는 방법이라는 의미에서 신체 개조와 차량 개조에 공통점이 있는 듯도 싶다. 다르게 말하면 지금의 자신을 인정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신을 전면 부정할 생각도 없는 것이다. - P109

이런 생각은 시간이 지나며 확신으로 변했고, 이제 더 이상 스스로를 속일 수 없다고 느끼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바꿔 말할 수도 있다. ‘힘들게 하는 사람‘은 ‘힘들어하는 사람‘이라고. - P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