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파리 - 생물학과 유전학의 역사를 바꾼 숨은 주인공, 개정판
마틴 브룩스 지음, 이충호 옮김 / 갈매나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과학'을 주제로 한 책은 사실 전공자가 아닌 이상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작가가 쉽게 풀어 쓴다고 해도 공부가 필요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생물학과 유전학의 역사를 바꾼 숨은 주인공' <초파리>를 읽는다면 '생명과학', '유전학'의 기본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름에 특히 실내에서 우리를 괴롭히는 존재 '초파리'. 음식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어떻게든 나타나 우리의 신경을 곤두세우는 존재이다. 대체 이런 초파리가 어떻게 생명과학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까?


먼저 초파리는 크기가 작으며 습성이 까다롭지 않았고 비용이 아주 저렴해 구하기 쉬워 20세기 연구진의 실험 동물로 선택받았다고 한다. 20세기에는 실험생물학이 막 떠오르기 시작했기에, 연구진은 초파리를 이용하여 많은 연구를 행했고, 그 결과 진화론의 '다윈'이 밝히지 못한 '자연 선택설의 실질적인 증거'와 '멘델의 완두콩 유전 법칙'을 증명했다고 한다. 특히 초파리는 최초로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는 데 크게 기여해 더욱 빛을 발했다고 한다.


저자는 초파리 연구의 역사 흐름에 맞춰 세계 곳곳 연구실에서 일어났던 흥미진진한 이야기도 함께 풀어나갔다. ( - 발생학, 진화생물학, 유전학, 노화생물학, 뇌신경과학 - 까지 쉽게 접할 수없었던 정보와 초파리가 안겨준 발전에 대한 이야기도 포함된다) 흥미로웠던 것은 초파리는 알코올을 섭취하면 인간처럼 취하기도 하고, 평소 생활 시간대에 변화를 주면 시차증을 겪는 등 인간과 참 많이 닮았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유전자로 초파리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인간도 유전자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질 수 있게 될 수 있다는 기대를 품는다고 한다.


저자의 유쾌함과 지식으로 술술 읽을 수 있었다. 마치 '소설을 읽는 기분'이라는 걸 실감했다. 20세기를 넘어 현재 암, 알츠하이머, 알코올중독, 수면장애, 노화 등 인간에게 꼭 필요한 연구까지 사용되고 있는 초파리. 그동안 불쾌한 동물로만 인식해왔던 게 조금은 미안할 정도이다. 앞으로도 초파리를 통해 더 많은 비밀이 밝혀지길 바란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좀 더 진지하고 현실적인 측면에서 보면, 초파리는 새로운 약과 유전자 요법을 이용해 선천적 학습 장애나 뇌졸중 환자,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치료하는 미래를 시사한다. 머리에 손상을 입어 상실한 기억은 되살리는 반면,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외상성 기억은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 P184

‘므두셀라‘ 돌연변이 초파리는 광범위한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저항력을 보인다. ‘므두셀라‘ 초파리는 단 하나의 유전자에 일어난 한 가지 변화만으로도 열과 굶주림, 그리고 자유 라디칼 생성을 촉진하는 제초체를 잘 견딜 수 있다. 이 유전자가 만들어 낸 단백질이 왜 이러한 마법의 효과를 발휘하는지는 아직 아무도 확실히 모른다.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