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 - 곽재식의 방구석 달탐사
곽재식 지음 / 동아시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에 관련한 이야기는 전 세계적으로 무궁무진하다. 달은 그만큼 우리와 친숙한 존재이기도 하다. 2022년 8월, 한국 최초로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달로 향했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저자 또한 '스스로의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달 탐사 가이드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를 펴냈다.


저자의 의문이기도 했지만, 사실 나 또한 무척 궁금했다. "왜 그 많은 돈을 들여 우리가 우주에 나가는 연구를 해야 하는 걸까?" 화학자이자 교수이며, SF작가로 유명한 저자를 통해 달과 인류의 역사를 들여다보니, 달은 우리와 너무도 친숙하며, 지구와 떨어져서는 안 되고, 우리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큰 존재였다.

- 서양문화 속 보름달과 괴물, 달을 훔쳐서 팔아먹다 물리학자로 전향, 달과 관련 있는 노량진 바닷배, 물도 없으면서 표현되는 '달의 바다' 등등 - 달에 관련한 모든 이야기가 이 책에 담겨있었다. 사실이기도 하고, 괴담이나 설화이기도 한 이야기들도 무척 흥미로웠지만, 더 신기했던 건 바로 '로켓'이기도 했다. 그 크고 무거운 물체가 가장 빠르게 하늘을 나니 대단할 수밖에. 이 책을 술술 읽다 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 지식이 쌓인다. ;)

(과학적 지식과 정보, 이야기를 떠나 달 그리고 사람과의 관계 그리고 그것을 풀어낸 삶의 철학을 담은 내용도 많아 참 좋았다) 꾸준한 관심과 발전이 이뤄낸 오늘날의 '우주개발 대항해시대'. 앞으로의 소식이 무척 기대가 된다. 달을 온전히 알게 될 때까지 우린 계속해서 달에게 영감을 받을 것이다. 그러니 우린 꼭 달에 가야 한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번에는 오래오래 사용할 수 있는 더 깨끗하고 큰 새 거울을 달에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그렇게 큰 거울을 설치해둘 만한 좋은 위치로 달은 아주 유용한 곳이다. ... 인공위성 같은 물체에 거울을 달아 놓는다면 무게가 너무 작아서 중력, 시간, 공간의 효과를 따져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달에 깨끗한 새 거울을 설치해놓는다면 그 거울이 우리에게 앞으로 50년, 100년 동안 달빛 속에서 시공간의 비밀을 알려줄 것이다. - P70

달을 탐사하고, 달을 더욱 먼 미래를 살펴보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사회는 그 만큼 훌륭한 과학기술과 미래를 앞서 나가는 활력을 갖춘 사회로 돋보일 것이다. ... 나아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도 더 큰 희망을 같이 품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믿는다. - P200

그렇게 등장한 새로운 사람들의 지혜로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생각이 나와 세상을 더욱 좋은 곳으로 바꿀 것이다. 이렇게 더 넓은 미래를 열어주는 일은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아주 멋진 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가야 한다. - P3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