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기특한 불행 - 카피라이터 오지윤 산문집
오지윤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 '소확행'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자리 잡은 것일까? 언제부터 불행은 절대적으로 가까이하지 말아야 할 단어가 된 것일까? <작고 기특한 불행>은 우리에게 많은 의미를 던져준다. 나도, 너도, 우리 모두 불행을 마주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행복보다 더 많이 찾아오는 불행을 저자는 어떻게 극복한 것일까?



적게 벌고 많이 버는 삶, 워라밸. 누구나 꿈꾸는 가장 이상적인 삶이 아닐까 한다. 저자도 그런 삶을 꿈꿨지만 현실은 너무도 달랐다. 그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는 동안 저자는 자신만의 글을 써내려 갔고, 일하는 현실, 가족에게 찾아온 파킨슨병, 친언니 관찰기 등등 'MZ세대'만의 솔직한 시선과 상황을 마주하는 심정을 고스란히 담았다.


'나만 불행한 것 같은 날, 끝없이 읽고 싶은 글'이라는 말이 참 어울렸다. 우린 SNS상으로 남의 행복만 봐왔지, 행복의 이면인 불행을 본 적은 거의 없다. 끊임없는 비교와 자신의 처지를 탓해봤자 마냥 아프기만 하고 끝없는 좌절만 이어질 것이다. 저자는 그런 굴레를 벗어나 주변과 그리고 자신과의 즐거움을 만들어 나갔다.


점점 느끼는 거지만, 확실히 카피라이터들의 글은 매력적이다. 담백하면서도 핵심이 있고, 그 속에 위트가 서려있는 글들이 담긴 <작고 기특한 불행>은 완벽한 산문집이었다. 덤으로 작고 기특한 불행들 속에서 행복을 찾을 용기를 얻었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나는 정석에게 스스로 정말 ‘여행자‘라고 생각하는지 묻고 싶었다. 몇 번 두드리기만 해도 부서져 버릴 이미지인지, 뿌리 깊은 정체성인지 궁금했지만 굳이 질문하지 않았다. 괜한 부러움에 심술을 부리는 것 같으니까. 솔직히 나 자신에게 하고 싶은 질문이었으니까. 누구나 탐낼만한 단어, 여행자. 사실 나도 그처럼 ‘여행자‘로 살고 싶었다. - P39

녹색은 영원함이 마땅하고 우리는 사라지는 것이 마땅하다. 마땅한 것들이 서글프게 느껴질 때는 녹색 앞에 설 것. 모든 게 수긍된다. - P125

"좋아했던 사람을, 사랑했던 순간을, 화가 났던 날들을, 소중했던 햇빛을 힘주어 눌러 쓰며 오늘의 나에게 보냅니다. 기억하지 않으면 영영 휘발될 것 같아요. 어떤 것들은 익숙해져서 닳아 버린 낱말들처럼, 날이 밝으면 사라질 것 같아요." - P2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