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드 오브 라이프 - 삶을 마감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을 찾아서
사사 료코 지음, 천감재 옮김 / 스튜디오오드리 / 2022년 2월
평점 :
삶을 마감하는 순간은 정말 다양하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 정말 있긴 한 것일까?' 의문을 품은 채 <엔드 오브 라이프>의 첫 장을 시작했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간 재택의료 방문간호사였던 모리야마가 췌장암에 걸리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동안 수없이 많은 환자의 임종을 지켜봐 왔기에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그는 잘 알고 있었지만, 그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새삼 달랐다.

이 이야기는 논픽션이다. 즉,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라는 것이다. 저자는 모리야마의 이야기를 토대로 그가 만났던 환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락트인 증후군에 걸려 눈동자조차도 움직일 수 없는 어머니와 헌신적으로 돌보는 아버지의 이야기까지 정말 다양한 삶들을 이야기해준다.
자신의 죽음을 알고 있는 환자와 그 곁의 가족들까지 모두 죽음이 아닌 하루를 살더라도 삶에 더 집중했다. 고비가 될 수 있지만 마지막일 수도 있기에 당일치기 여행을 하는가 하면, 평화롭고 벚꽃이 흩날리는 정원이 있는 자신의 정원에 사람들이 모여 하프콘서트를 열기도 했고, 극도로 나빠진 컨디션을 이끌며 디즈니랜드 행을 계획하기도 했다. 무모한 결정일 수도 있겠지만 마지막, 정말 마지막일 수도 있기에 남은 시간이 단 하루라 할지라도 행복하고 기쁘게 보내고 싶었을 환자들과 가족들. "결국에는 살아온 모습 그대로 마지막을 맞이하니까요."라는 말에 왜 이리 가슴이 미어지는지 모르겠다.
초고령사회를 맞이한 일본은 자택에서 임종하길 원하는 환자들에게 재택의료를 권장한다고 한다. 반면 한국은 예전에 비해 주택 임종이 줄고 의료기관 임종이 늘었다고 한다. 집에서 임종을 맞이하고 싶어도 여건이 안되고 의료진과 보호자의 관리가 의료기관이 더 수월하기 때문이다. 솔직히 정확한 답은 없다고 본다. 의료진이 정말 필요한 환자가 있는가 하면, 가족의 도움이 더 필요한 환자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죽음 앞에서도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는 것이 마음 아프기도 했지만, 죽음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남은 사람들에게 주는 묵직한 울림을 느낄 수 있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그래도 방문간호사 하길 정말 잘했어요. 환자분들께 배운 게 참 많아요. 그분들은 내게 똑똑히 보여주셨어요. 도중에 고통스러운 지점을 지나간다 하더라도, 마지막에는 모두 편안하게 웃으며 떠난다는 것을요. - P72
가족이지만 신기해서 견딜 수 없었다. 아빠는 어찌 이렇게까지 헌신적으로 간병을 할 수 있을까. 의무감으로 하는 거라면 이렇게까지 오래 계속하지는 못한다. 아빠는 자기 인생 모두를 바쳐버릴 만큼 엄마를 좋아하는 것이리라. 하지만 나는 간병이란 애정만으로는 할 수 없다는 일임을 알고 있었다. - P191
죽어가는 사람은 그저 보살핌받는 게 전부인, 도움을 필요로만 하는 무력한 존재가 아니다. 그들은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실제로 얼마 안 되는 기간을 취재했을 뿐인데도 시노자키가 내게 가르쳐준 것은 결코 적지 않았다. - P3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