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뒤 오늘을 마지막 날로 정해두었습니다 -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할 때
오자와 다케토시 지음, 김향아 옮김 / 필름(Feelm)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이 1년 후에 끝난다면 진짜 행복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 슬픔과 막막함 그리고 분노가 동시에 찾아오겠지만 끝내 받아들인 채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계획할 것이 분명하다. 그 시간들을 보낸다 하더라도 우린 진짜 행복을 알 수, 아니 찾을 수 있을까?



3,500번의 죽음을 마주한 호스피스 의사가 있다. 그는 2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환자들의 마지막을 배웅한 의사이다. 다양한 사연을 가진 환자들을 정성껏 보살피고 그들의 질문에 늘 진심으로 답했다는 그의 글에서 죽음을 생각해보는 시간과 인생의 의미 등 죽음에 대한 통찰을 볼 수 있었다.


그는 인생에서 꼭 필요한 질문 17가지를 묻기도 했다. 바로바로 나만의 답을 적을 때도 있었지만, 멈추고 많은 생각을 하며 쉽게 답을 적지 못할 때가 더 많았다. 그만큼 죽음에 대해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는 우리에게 시간이 1년밖에 남지 않았다고 가정한 채, 우리의 마지막 모습을 상상해보길 제안했다. 어떤 모습으로, 누구와 함께, 또는 어디에서 어떤 생각을 갖거나 이야기를 하며 어떤 감정을 느끼고 싶은지 아주 구체적으로 상상해봐야 했다. 그 상상만으로도 우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방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좋았던 그의 이야기는 바로 '나 다움'이었다. 누구나 내 뜻대로 살고 싶지만, 언제나 그럴 수 없다는 걸 우린 알아야 한다. 느끼는 모든 감정과 겪는 상황 속에서 특히 힘들 때나 배려하거나 인내하는 순간에도 우린 '나 답게' 살고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모든 선택이 곧 자신의 인생이 되기에 완벽하게 살아야 한다는 강박감을 내려놓을 수 있었지만 동시에 되도록이면 잘못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올바르게 살아야겠다는 다짐도 할 수 있었다.


무섭고 두렵게만 바라보았던 죽음을 통해 낯설지만 담담한 용기를 얻을 수 있었기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할 때, 어떠한 일도 감당하기 어려울 때 <1년 뒤 오늘을 마지막 날로 정해두었습니다>를 꼭 읽어보시길 바란다.


"도서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알고 싶다면 네이버에 필름출판사를 검색해주세요."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자신의 인생과 과거에 내린 결정을 돌아보며 ‘만약 다른 길을 선택했다면 인생이 바뀌지 않았을까?‘ 하고 상상하거나 그때 내린 결정이 정말 옳은 일인지 고민하기도 합니다. 후회라는 감정은 이토록 복잡한 법입니다. - P51

자연의 아름다움과 풍요로움을 느낌으로써 안고 있던 걱정이 작아보일 수도 있고, 이 세상에 사는 기쁨과 가치를 느끼며 자신의 자연으로부터 생명력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자신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여기게 될지도 모릅니다. - P113

매일매일 너무나도 바쁘게 해야 하는 일이 쌓여있는 사람은 그중에 하지 않아도 도는 것이 섞여 있지 않는지 한번 잠시 멈춰 서서 생각해 봅시다. 그렇게 하면 여러분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일, 여러분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보일 것입니다. - P1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